학술논문
3D 아바타 모델링을 위한 중년 여성의 체형 유형화
이용수 23
- 영문명
- Classification of Middle-aged Women's Body Types for 3D Avatar Modeling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저자명
- 윤지원 홍은희
- 간행물 정보
- 『문화와융합』제44권 12호, 1149~116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40-59세 중년 여성의 체형을 형태에 따라 유형화하고, 특징을 분석하여 3D 아바타 모델링에사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료는 ‘Size Korea 8차 인체치수조사’에서 제공되는 3차원 측정 자료 중년여성 522명을 사용하였다. 체형 유형화를 위한 요인은 팔과 하반신 수평 크기, 인체수직 크기, 엉덩이 길이, 목·어깨 크기, 체간부 편평율, 어깨·겨드랑 형태, 상반신 굴곡, 겨드랑 수평 크기, 상반신 측면 형태, 젖가슴 크기, 배부위 크기, 앞뒤품 차이, 머리 크기로 나타났다. 체형 유형은 팔다리 긴 하반신 발달형, 굴곡 없는 납작한 체형, 굴곡 있는 상반신 발달형, 배가 나온 굽은 체형으로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3D avatar modeling by categorizing the body type of middle-aged women aged 40-59 according to their shape and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This study was sampled with 3D body scanned data to 522 middle-aged women provided by the ‘Size Korea 8th Body Size Survey’. Factors for body type classification contained arm and lower body horizontal size, body vertical size, hip length, neck·shoulder size, torso flatness, shoulder·armpit shape, upper body shape, horizontal armpit size, upper body lateral shape, breast Size, belly size, front and back width difference, and head size. The survey was found to be body typed with development of lower body with long limbs, a flat body without curvature, development of a curved upper body, and a bent body with a belly protruding.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및 논의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글쓰기 피드백 시스템 고도화와 활용 방안
- 고전 소재 웹툰에 나타난 ‘춘향’ 서사의 변주 양상과 의미
- 취약계층 학생들의 에듀테크 콘텐츠 활용 학습만족도 향상 방안 연구
- 영화 <소리도 없이> 속 가면과 분장 역할에 관한 연구
- 현대 조형사진에서 나타나는 초현실적 공간에 관한 연구
- 칙센트미하이의 시스템 모델로 해석하는 쇤베르크의 12음기법의 새로움
- 중도시각장애인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음악프로그램 개발
- QGIS를 활용한 월악산국립공원 민속문화 분포 분석
-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미국 유학 한국인 대학생의 대인관계 개선에 대한 상담 연구
- 중국 디지털 포용적 금융이 경제 발전에 미치는 영향
- 신자연주의 미학적 특성을 융합한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
- 코로나-19팬데믹으로 인한 직무소진 보육교사들의 별-파도 그림검사(SWT)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대중음악 시장의 2세대 NFT 활용 연구
- 에듀테크 기반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목표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 느끼는 불안감 연구
- 한국 대중가요 가사에 나타난 “세상”의 공기어 네트워크 연구
- 사물의 내면과 감각의 실천
- 3D 입체퍼즐을 활용한 문화유산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방안 모색
- 협동학습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적용 사례연구
- 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 인증모형 개발 연구
- <숙향전> 서사의 대중성과 문학적 의미
- 마약류 범죄의 억제를 위한 효율적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 언론이 다루는 차별 담론과 쟁점화
- 고전 희곡 “바냐 삼촌”의 두 가지 형태의 리텔링 연구
- 비전통적 고등교육기관에서 성인 탈북민의 학업 유지 노력에 대한 질적 연구
- 조직 지원인식이 조직의 계획화에 미치는 영향
- 아날로그 아웃보드 프로세서의 특성 연구
- 김종삼의 시적 정의(正義)
- 최승자 시에 나타난 탈식민주의 여성주의
- 디지털역량, 디지털효능감 및 소득 간 구조적 관계
- 대학생 글쓰기에 나타난 오류 유형 분석
- 대학생의 메타인지와 디지털리터러시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비대면 수업에서 장애대학생의 정보 접근성
- 대학생의 학습스타일이 학습동기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애니메이션 영화 ‘어린 왕자’, 동화(童話)로 현실 넘어서기
- 이청준의 「가수(假睡)」에 나타난 타자 재현 양상 연구
- 동시대 한국소설에 나타난 이모 표상의 의미망
- 진리 탐구의 여정에서 본 아우구스티누스
- 헤겔과 니체의 현대사상과 이상적 인간
- 투리나의 피아노 춤곡에 반영된 스페인 안달루시아의 민족적 음악 요소
- 평생교육 교수자로서의 문화예술교육사
- 중독회복에서의 에니어그램 영성 활용 가능성 탐색
- 적응적 전문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
-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그릿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 드라마 <킹덤>에 직조된 다층적 서사구조와 캐릭터에 대한 젠더적 접근
-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에서 제기하는 하느님 섭리와 인간 자유의 관계 문제에 대한 신학적 고찰
- 네일아트 이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심리상태의 해소에 관한 연구
- 불교 교단의 경영원리 활용 고찰
- 가정폭력에 노출된 다문화가정 학대피해아동의 자아개념 향상을 위한 놀이기반 미술치료 사례연구
- ‘창의적 나이듦’을 위한 성숙한 자기애로서의 창조성 연구
- 코로나19 이후 국내외 평생교육정책 동향분석 및 시사점
- 학생선수 환경 특성에 따른 한·중 학부모의 선수 자녀에 대한 교육 및 운동활동 기대 차이
- 낱장문서 메움용 접착제 활용 연구
- 언어 이데올로기(language ideology)의 교육적 가치
- 20대 북한이주여성들의 연애, 성과 사랑에 관한 연구
- 유학생의 한국 대학생활 분석 및 지원방안 연구
- 2세대 아이돌의 순응적 몸 연구
- 대구지역의 일본인 디아스포라에 관한 질적 연구
- ‘이공계 글쓰기’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ESG 시대, 기업의 환경 이슈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의미 네트워크(Semantic Network)를 활용한 글로벌 반중 (反華) 현상에 대한 중국 내 인식 분석
- 학부 유학생 대상 교양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한국 현대문학에 나타난 ‘봄밤’ 의미 연구
- 교육의 사회적 책임(ESR) 인식 유형 연구
- 청소년의 인터넷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와의 관계, 친구애착, 자아존중감의 구조적 관계
- 원장의 리더십 유형이 유아교사의 놀이지원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학병원의 RFID 도입 전략에 관한 리뷰 연구
- 시각장애인의 박물관 접근성 확대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과 내국인 간의 상호 교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간병기록 “나는 매일 엄마와 밥을 먹는다”에 나타난 가정 간병의 실상과 가치
- 한·중 문화 및 교육 교류의 미래와 전망
- 문화재 활용정책의 평가
- AHP 분석에 의한 콘텐츠 스타트업 투자결정요인 연구
- 한국어 신조어 교수·학습에 대한 요구 조사 분석
- 과총, 과학기술회관 건립의 꿈을 이루다
- 중국 고등학생의 마인드셋과 학업소진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지연성 근통증 유발 후 Ibuprofen 투여가 최대근력 및 근 손상 지표에 미치는 영향
- 케이팝 세계화 성공의 본질에 관한 고찰
- 소금의 상징성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연구
- 인지저하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ADL/IADL)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프로그램의 연구 동향
- 우리나라 근로자의 근로시간과 야간근무가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시대의 예외상태 설정과 책임의 문제
- 친수형 도시공원의 장소성 형성을 위한 공간콘텐츠 연구
- 문학 공간 교육을 위한 3D creation & coding SW 활용의 의미
- 미-중 패권 경쟁시대의 생존방법 연구
- 3D 아바타 모델링을 위한 중년 여성의 체형 유형화
- 나혜석의 근대적 ‘자연(自然)’관 연구
- 문화와 융합 제44권 12호 목차
- 2022 한국문화융합학회 규정집
- 문화와 융합 제44권 12호 판권
- 코로나-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간호전문직관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Google사이트도구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사 원격수업의 실제적 방안
- 신입생의 교양수업 경험과 만족이 중도탈락 의도에 주는 영향
- 기능성 스포츠 이너웨어의 착용실태와 만족도
- 장대천 발묵발채 산수화의 의상 연구
- 창의적융합력 강화를 위한 학습공동체 기반 학교뮤지컬 교사 연수 프로그램 연구
- 노년기 우울과 인지에 거주지역의 도시규모가 갖는 조절효과 검증
- 청소년의 팬덤활동과 협동심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중수교 30년 주요성과 및 나아갈 방향에 관한 연구
- 경기도 노인의 여가시간
- 한정판 스니커즈를 모티브로 한 네일아트 연구
- 문화와 융합 제44권 12호 표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