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주군 서남부 지역 지명의 생성 유연성 연구

이용수 31

영문명
A Study on the Flexibility of Generation of Geographical Name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Gyeongju-gun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노은주(Nho Eunjoo) 최선희(Choi Seonhui)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12호, 1033~105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주풍물지리지》에 수록된 경주군 서남부 지역의 마을 이름 307개를 대상으로 하여 앞요소를 분석함으로써 계량적 특징과 명명 유연성의 특성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마을 이름의 앞요소는 대부분 그 이름의 명명 유래와관련이 있다. 앞요소의 분석을 통해 해당 지역 지명의 명명 유연성과 여타 유의미한 가치를 파악할 수 있다. 경주군 서남부 지역 마을 이름의 앞요소를 대상으로 내부 기준과 외부 기준에 의한 형태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전체적으로 볼 때, 내부 기준과 외부 기준의 비율은 ‘141:166’로 나타났으며, ‘형태’에 관련된 것보다 ‘속성’에 관련된 항목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 내부 기준에 의한 분석 결과: ‘위치’와 관련된 명칭이 매우 생산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 외부 기준에 의한 분석 결과: ‘인공물’, ‘자연물’과 관련한 구별 표지들이 매우 생산적으로 사용되었다. ‘관사, 절, 점, 정자’ 등의 인공물과 ‘물, 산골짜기, 밭, 바위, 숲’과 관련한 자연물이 마을 이름의 명명 기반이 되었다. - 경주군 서남부 지역 마을 이름에 고어형 혹은 방언형이 많이 잔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해당 지역 주민의발음 습관이나 방언적 특성으로 인해 마을 이름이 음운 변화를 일으킨 경우도 찾아볼 수 있었다. - 해당 마을 이름의 이칭까지 포함하여 조사한 결과, 고유어 계열의 명칭이 훨씬 생산적임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aming flexibility by analyzing the preceding elements by targeting 307 village name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Gyeongju-gun included in the Gyeongju Pungmul Geography . Most of the preceding elements of a village name have to do with the origin of the nam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ceding elements, it is possible to grasp the naming flexibility and meaningful value of the geographical name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Gyeongju-gun.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y internal and external criteria for the front elements of village name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Gyeongju-gun are as follows. - Overall, the ratio of the internal standard to the external standard was ‘141:166’, and items related to ‘attributes’ rather than those related to ‘form’ appeared predominant. - Analysis results based on internal standards: It can be seen that the names related to ‘location’ appear very productively. - As a result of analysis by external standards: Distinguishing markers related to ‘artificial objects’ and ‘natural objects’ were used very productively. - It was found that many archaic forms or dialectal forms remain in the names of village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Gyeongju-gun. In addition, there were cases where the name of the village had a change in phoneme due to the pronunciation habits or dialectal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residents. -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ncluding the alias of the village name, it was found that the name of the native language family is much more productive.

목차

1. 들머리
2. 내부 기준
3. 외부 기준
4.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은주(Nho Eunjoo),최선희(Choi Seonhui). (2021).경주군 서남부 지역 지명의 생성 유연성 연구. 문화와융합, 43 (12), 1033-1056

MLA

노은주(Nho Eunjoo),최선희(Choi Seonhui). "경주군 서남부 지역 지명의 생성 유연성 연구." 문화와융합, 43.12(2021): 1033-10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