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부의 동거여부에 따른 가족건강성 영향변인 탐색

이용수 115

영문명
A Study on Family Strength impacting Factor Based on the Cohabitation State of Couples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유혜승(Yu Hyeseung)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12호, 1113~113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사회적으로 중요해지고 있는 가족건강성이 최근 변화되고 있는 가족형태 중 부부의 동거여부에 따른 가족건강성 영향변인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2015년에 발표된 여성가족부의 3차 가족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총 2,516명이며. 이 중 동거부부는 2,360명, 분거부부는 156명이다. 연구방법은먼저 동거부부와 분거부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각 요인 간의 상관을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동거부부와 분거부부 집단의 가족건강성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단계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거부부의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에서는 성별, 교육수준, 연령, 경제상태, 소득이었으며, 부부관련 변인으로는 의사소통 만족과 부부관계 만족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부부갈등 변인인 부부갈등과 가사 및 육아갈등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녀관련 변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거부부의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인구학적 변인에서는 성별, 연령, 경제상태, 취업여부, 맞벌이 여부로 나타났으며, 부부관련 변인으로는 부부관계 만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부갈등 변인과 자녀관련 변인은 분거부부의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부의 동거여부에 따른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변인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추후 부부관계향상이나 가족건강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whether the family Strength impact factor is affected by the cohabitation state of couples, which is a recently changing form of family that has become socially important. The data from the 3rd family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in 2015 was utilized for this study. A total of 2,516 people were analyzed in this study. Of these, 2,360 were cohabitation couples and 156 were separated. The research method first confirmed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 couples of both states. The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s. Furthermore, a step-by-step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impact factors of family health in the cohabitating and separated state group. This research’s key analytic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affecting family health on couples of cohabitation state were identified as gender, education level, age, economic status and income. For marital related variables,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to have a positive effect. For marital conflict variables, marital conflicts, housework and parenting conflicts were identified to have a negative effect. However, children-related variables were identified to have no effect. Second,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affecting the family health of separated couples were gender, age, economic status, employment status and dual-income status. For marital related variables,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identifi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other hand, marital conflict variables and children-related variables had no effect to the family health of the separated couples.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onfirms that the cohabitation state of a couple differentiates factors that affects family health and to provide basis information in development of programs aiming to enhance couple relationship status and family health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혜승(Yu Hyeseung). (2021).부부의 동거여부에 따른 가족건강성 영향변인 탐색. 문화와융합, 43 (12), 1113-1136

MLA

유혜승(Yu Hyeseung). "부부의 동거여부에 따른 가족건강성 영향변인 탐색." 문화와융합, 43.12(2021): 1113-1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