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문학교육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의 책 만들기 경험의 의미

이용수 302

영문명
The Mean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ook-making Experience during the Course Lessons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태경(Kim, Tae ky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2호, 323~34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1.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문학교육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이 책 만들기 활동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으며 이러한 경험들이 드러내는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문학교육 수업에서 진행한 책 만들기 활동에 참여한 1학년 예비유아교사 6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책 만들기 활동은 전체 15주 유아문학교육 수업 중 11주에서 13주까지, 주 3시간 수업으로 3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책 만들기 활동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저널쓰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책 만들기 활동을 경험한 예비유아교사들은 첫째 책의 물리적 속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책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를 하였다. 둘째. 작가의 눈으로 책을 다시 보며 적극적인 독자가 될 수 있었다. 셋째. 그림책과 유아의 발달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들을 위한 책을 알아 갔다. 넷째, 즐거운 작가 되기를 즐겼으며 문학적 감수성을 키워나갔다. 유아문학교육 수업에서의 책 만들기 활동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은 능동적인 독자와 작가적 역량을 발휘하며 문학적 감수성을 키워나갈 수 있었으며, 유아들에게 다양한 그림책과의 만남과 풍부한 경험의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었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문학교육의 방법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as they did a book-making activity during the course lessons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ultimately determining what meaning the experiences would provide to them.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ed as its participants 68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took part in making books while taking the course lessons as foresaid. Data collected and analyzed here were journals that the participants wrote about how the experience of book-making wa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ctivity of book-making allow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get a deep appreciation of books alongside with an understanding of physical attributes that the materials have. Second, that activity led the participants to reconsider books from writers’ perspective, and become positive readers. Third, the experience of making books brought the surveyed pre-service teachers to get a proper insight to books for young children, basically in connection with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and those of the youngsters’ development. And fourth, that experience provided the book makers with the opportunity of enjoying being a writer with delight and improving literary sensitivity.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making books as part of the course lessons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encourag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exert their potential as a positive reader or writer, which contributed to improving sensitivity to literature. Also, the book-making activity helped them become more capable to provide young children with the opportunity of meeting or experiencing a variety of picture books. Furthermore, that activity provided the source of new ideas about how literature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태경(Kim, Tae kyung). (2020).유아문학교육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의 책 만들기 경험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22), 323-348

MLA

김태경(Kim, Tae kyung). "유아문학교육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의 책 만들기 경험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2(2020): 323-3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