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념적 이해를 위한 핵심 아이디어, 성취기준 및 질문의 연계 제시 방식 비교·분석: 캐나다 온타리오 및 B.C. 주와 싱가포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lignment of Big Ideas, Achievement Standards, and Questions in Ontario, B.C., and Singapore Curricula for Conceptual Understanding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장혜인(Haein Jang) 최진영(Jinyoung Choi) 이예림(Yerim Lee)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제35권 제1호, 93~12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해외 교육과정에서 개념적 이해를 위해 핵심 아이디어와 질문이 성취기준과 어떻게 연계되어 제시되고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연계 제시 방식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핵심 아이디어 및 질문을 제시하는 캐나다 온타리오 주 및 B.C. 주, 싱가포르의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세 교육과정의 핵심 아이디어-성취기준-질문 연계 제시 방식을 비교·분석하는 문헌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세 교육과정은 학년별로 소수의 핵심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있으며, 핵심 아이디어는 학년마다 다르게 진술된다. 둘째, 핵심 아이디어와 성취기준 연계 제시 방식은 일대일 대응 또는 다대다 대응 형태로 다르게 나타났으나 두 요소를 직, 간접적으로 쉽게 연계할 수 있다. 셋째, 질문은 핵심 아이디어 및 성취기준과 직, 간접적으로 연계되어 제시된다. 넷째, 핵심 아이디어-성취기준-질문이 연계되는 방식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나 학년별로 하나의 표에 함께 제시되어 세 요소를 직, 간접적으로 연계할 수 있다. 따라서 세 교육과정은 질문을 중심으로 핵심 아이디어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핵심 아이디어의 맥락 속에서 성취기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설계 및 실행을 지원하고 있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연계제시 방식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how big ideas and questions were presented in alignment with achievement standards in foreign curricula to foster conceptual understanding. By doing so, the study sought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structure and linkage of content system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Korean curriculum. [Methods] This study examined prim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documents from Ontario and British Columbia in Canada, as well as Singapore, focusing on the presentation of big ideas and questions. A docum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ways in which big ideas, achievement standards, and questions were linked in these three curricula. [Results] First, all three curricula presented a limited number of big ideas per grade level, with big ideas articulated differently across grades. Second, the linkage between big ideas and achievement standards varied, taking either a one-to-one or many-to-many correspondence, but in both cases, the elements could be easily connected directly or indirectly. Third, questions were presented in direct or indirect relation to both big ideas and achievement standards. Fourth, while the methods of linking big ideas, achievement standards, and questions differed, these elements were collectively presented in a single table for each grade, allowing for their direct and indirect integration. Consequently, these curricula supported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by using questions as a central tool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big ideas and to facilitate the attain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within the context of these big ideas.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tructure and linkage presentation of content organization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Korean curriculum.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혜인(Haein Jang),최진영(Jinyoung Choi),이예림(Yerim Lee). (2025).개념적 이해를 위한 핵심 아이디어, 성취기준 및 질문의 연계 제시 방식 비교·분석: 캐나다 온타리오 및 B.C. 주와 싱가포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35 (1), 93-122

MLA

장혜인(Haein Jang),최진영(Jinyoung Choi),이예림(Yerim Lee). "개념적 이해를 위한 핵심 아이디어, 성취기준 및 질문의 연계 제시 방식 비교·분석: 캐나다 온타리오 및 B.C. 주와 싱가포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35.1(2025): 93-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