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진로포부 연구 동향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Career Aspirations: Focusing on Keyword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현구(Hyun Gu Lee) 심우정(Woo-Jeong Shim)
- 간행물 정보
- 『미래교육학연구』제37권 제4호, 1~2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20년간 학술지에 게재된 진로포부 연구 현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진로포부 연구에서 사용된 키워드를 분석하여 진로포부 연구의 주요 연구주제와 그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04년부터 2024년 6월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등재후보지 이상에 게재된 131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발행연도, 연구분야, 연구방법(통계방법), 측정도구, 연구변인으로 분류하여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논문의 주제어를 활용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포부 연구는 2011~2013년에 활발히 이루어지다가 점차 감소하였다. 둘째, 교육학 분야와 대학생을 대상으로 가장 활발히 이루어졌다. 셋째, 양적연구와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한 연구의 비중이 컸다. 넷째, 측정도구는 O’Brien(1992)의 진로포부척도(CAS)를 번안·활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다섯째, 키워드 중심성 분석결과 ‘진로장벽’ 키워드가 연결중심성,매개중심성, 근접중심성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총 4개의 커뮤니티로 분류되었다.
학술적 기여: 본 연구는 지난 20년간 진로포부 연구의 전반적인 경향을 진단하고, 향후 진로포부 연구가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급변하는 노동과 직업시장에서 진로포부 연구가 성인과 평생교육 영역으로 확장되어야 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systematically examines career aspiration research trend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over the past 20 years, providing insights for future research.
Methods: A total of 131 articles published in Korea Citation Index (KCI)-listed journals from 2004 to June 2024 were analyzed. Bo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were employed to analyze publication trends and thematic structures.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five major trends: (1) career aspiration research peaked between 2011 and 2013, coinciding with the implementation of career education policies; (2) studies predominantly focused on education, with college students as the primary population; (3) quantitative methodologies dominated, with career barriers and self-efficacy emerging as core variables; (4) O'Brien's (1992) Career Aspiration Scale was the primary measurement tool; and (5) keyword network analysis identified four distinct communities: career exploration of elementary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support of college students, parental influence, and career barriers of adolescents.
Academic Contribution: This study suggests expanding research scope to include diverse populations and methodologies, particularly emphasizing qualitative approaches to understand career aspirations in the rapidly changing job environment. The findings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signing career education programs and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