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초학력 보장 정책 운영 실태와 지원 요구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Implementation Status of the Basic Academ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y and Analysis of Support Needs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순아(Soon-A Lee)
- 간행물 정보
- 『미래교육학연구』제37권 제4호, 87~10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학력 보장법 제정 이후, 단위학교에서의 기초학력 보장 정책 운영 양상이 어떠한지 살펴보고 정책을 실행하는 데 있어 교사들의 주요 지원 요구 사항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초·중·고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에는 총 789명의 응답 자료를 활용하였다. 단위학교의 기초학력 보장 정책 운영 양상은 기술통계분석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교사의 지원 요구는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모델 등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중·고 모든 학교급에서 기초학력 진단 방법의 1순위는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 활용이었으며 학습지원 1순위 담당은 주로 담임 및 교과교사였다.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세부 사업별 지원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초·중학교에서는 각각 7개의 우선 지원 사업이, 고등학교에서는 5개의 우선 지원 사업이 도출되었다.
학술적 기여: 본 연구는 기초학력 보장법 제정 이후 초·중등 학교급별 단위학교에서의 기초학력 보장정책 운영 양상이 어떠한지 경험적 자료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교사들이기초학력 보장 정책을 직접 실행하는 데 요구되는 지원 사항을 다각적 방법을 통해 도출하였다는점에서 가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Basic Academ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y in schools since the enactment of the Basic Academic Achievement Guarantee Act, as well as to identify the key support needs expressed by teachers in executing these policies. For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collecting responses from a total of 789 teachers acros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patterns in policy implementation, while teachers' support needs were assessed through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the Locus for Focus model, and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ode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Acros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most frequently utilized method for diagnosing basic academic achievement was the use of the Basic Academic Achievement Diagnosis-Remediation System. In terms of academic support, homeroom and subject teachers primarily took responsibility for assistance. Analyzing support needs for specific programs aimed at improving basic academic achievement revealed seven priority support program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nd five for high school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mpirically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policy implementation for basic academic achievement assurance across different school levels following the enactment of the Basic Academic Achievement Guarantee Act. Additionally, it holds value by identifying teachers' support requirements for the direct execution of these policies using various assessment method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