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와 학부모가 함께 하는 뉴미디어리터러시 융합놀이 수업사례 연구

이용수 65

영문명
A case study on new media literacy convergence play classes with children and par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가영(Ga-Young Kim) 백성혜(Seoung-Hey Pai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8호, 697~70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대응하도록 ‘유아와 학부모가 함께 하는 뉴미디어리터러시 융합놀이 수업사례 연구’를 통해 유아와 학부모의 뉴미디어리터러시 함양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연구자는 메타버스 수업 경험이 부족한 유아와 학부모가 함께 소통하여 참여하도록 뉴미디어 학습 환경을 활용하고 창의성, 감성, 인성이 조화된 뉴미디어 융합놀이를 유치원 연구에 적용하는 실행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을 담당한 연구자가 메타버스 융합놀이 수업을 성찰하고 개선하는 ‘계획-실행-성찰-재계획’의 나선형 순환구조의 실행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유아들과 학부모들은 ‘뉴미디어 이해하기’ 측면에서 뉴미디어 공간에서 스스로 몰입, 도전, 통제가 가능함을 인식하였다. 또 ‘뉴미디어를 안전하게 이용하기’ 측면에서 유아, 학부모 모두 뉴미디어의 적절한 시간을 이용해야 하고, 건전하게 이용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였다. 그리고 ‘뉴미디어 분별적 수용하기’ 측면에서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취사선택하여 적절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함을 알게 되었다. 다음으로 유아와 학부모들은 ‘정보와 가치를 만드는 생산자’로서 함께 작품을 완성하여 메타버스 미술관에 전시해보기도 하고 ‘문제해결을 통해 협력하고 서로 존중하며 심미적 도덕성을 함양’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유아, 학부모는 메타버스 안과 밖에서 ‘집단지성을 통해 사회⋅문화적으로 긍정적으로 소통’하며 뉴미디어리터러시의 모든 요소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학부모와 유아는 함께 수업에 참여하며 뉴미디어 매체를 단순히 배우기 위한 수단이나 지식을 학습하는 것이 아닌 매체와 기술, 환경 간의 관계를 새롭게 바라보고 새로운 가능성이 열리는 공간으로 인식하였다. 또 놀이와 학습에 다양한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공간의 연결을 통해 다양한 구성원의 개방적인 참여와 교류와 새로운 확장을 발견하였다. 즉, 뉴미디어의 이해와 놀이를 통해 다른 공간, 분야의 지식, 기술, 경험 등과 연계하고 융합하여 새로운 가치와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는 능력을 함께 함양하는 계기가 되고, 그 결과 뉴미디어리터러시 역량이 점진적으로 강화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변화하는 시대에 대응하도록 학습자와 학부모의 뉴미디어리터러시 역량 함양하기 위한 놀이사례를 다양한 각도에서 개발하고 교육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ultivating new media literacy in children and parents through ‘a case study of new media literacy convergence play classes with children and parents’ to respond to the digital era. Methods To this end, the researcher utilized a new media learning environment so that children and parents who lack experience in metaverse classes could communicate and participate together, and conducted an action study to apply new media convergence play that harmonizes creativity, emotion, and personality to kindergarten research. In this process, the researcher who played the role of a teacher utilized the action research method of the spiral circular structure of ‘plan-execution-reflection-replan’ to reflect on and improve the metaverse convergence play class. Results In terms of ‘understanding new media,’ children and parents recognized that they could immerse themselves, challenge themselves, and control themselves in new media spaces. In addition, in terms of ‘using new media safely’, both children and parents understood that new media should be used at appropriate times and used in a sound manner. And in terms of ‘discriminative acceptance of new media,’ we learned that we need to be able to use appropriate information by making choices in the flood of information. Next, as ‘producers of information and value,’ children and parents were able to complete works together and display them at the Metaverse Art Museum, and ‘cooperate through problem solving, respect each other, and cultivate aesthetic morality.’ Lastly, children and parents ‘communicated positively socially and culturally through collective intelligence’ inside and outside the metaverse, showing positive effects in all elements of new media literacy. Conclusions Parents and children participated in classes together and recognized new media as a space that opened up new possibilities and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technology, and the environment in a new way, rather than simply as a means of learning or learning knowledge. I also learned that there are various ways to play and learn, and discovered open participation and exchange among various members and new expansion through the connection of spaces. In other words, through understanding and playing with new media, it becomes an opportunity to cultivate the ability to discover new values ​​and possibilities by linking and integrating knowledge, technology, and experience in other spaces and fields. As a result, new media literacy competency is gradually developed. strengthened.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ontinuous discussions are needed to develop play cases from various angles and apply them to education to foster new media literacy capabilities of learners and parents to respond to the changing tim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가영(Ga-Young Kim),백성혜(Seoung-Hey Paik). (2024).유아와 학부모가 함께 하는 뉴미디어리터러시 융합놀이 수업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8), 697-709

MLA

김가영(Ga-Young Kim),백성혜(Seoung-Hey Paik). "유아와 학부모가 함께 하는 뉴미디어리터러시 융합놀이 수업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8(2024): 697-7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