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개념 잠재프로파일 분석

이용수 13

영문명
Exploring the Latent Profiles of Self-Concep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양희용(Hee Yong Y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8호, 243~26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자아개념 잠재프로파일의 분류와 특성을 파악하고, 잠재프로파일과 관련된 예측변인과 결과변인의 관계가 어떠한지 검증하는 데에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충남 소재 초등학생 388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아개념 잠재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사회적 지지 척도를, 자아개념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결과변인으로 성취 관련 변인(자기결정성 동기, 성취정서, 학업노력)과 학업성취도 척도를 선정하여 자아개념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개념 잠재프로파일이 3개의 유형, 즉 ‘전반적 낮음-신체외모부정형’과 ‘전반적 보통-부모관계긍정형’, 그리고 ‘전반적 긍정형’으로 도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아개념 잠재프로파일의 예측변인으로서 사회적지지, 즉 교사⋅부모⋅친구 지지가 높을수록 ‘전반적 긍정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고, 이들이 낮을수록 ‘전반적 낮음-신체외모부정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아개념이 높은 ‘전반적 긍정형’에 속할수록 ‘전반적 보통-부모관계긍정형’과 ‘전반적 낮음-신체외모부정형’에 비해 자기결정성 동기와 즐거움, 학업노력, 학업성취도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자아개념이 다양한 유형으로 달라짐을 밝힘으로써 집단 수준에 따른 맞춤형 지도와 함께 사회적 관계를 증진하기 위한 교육적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lassifications and qualities of the self-concept latent profile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nd to verify how the latent profile is related to predictor variables and outcome variables. Methods For this purpose, a self-concept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on 388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The social support scale was selected as a predictor of self-concept latent profile, and achievement-related variable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chievement emotion, academic effort) and academic achievement scale were selected as outcome variables according to self-concept latent profile. Resul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ee self-concept latent profiles were extracted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Overall Lowness-Physical Appearance Negative Type’, ‘Overall Average-Parent Relationship Positive Type’, and ‘Overall Positive Type’; Secund,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teacher⋅parents⋅friend support) as predictor variables of the self-concept latent profile,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Overall Positive Type’; the lower the level of these,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Overall Lowness-Physical Appearance Negative Type’; Third, for those belonging to the ‘Overall Positive Type’, where self-concept is high, higher level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enjoyment, academic effort,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identified, rather than in the ‘Overall Average-Parent Relationship Positive Type’ and ‘Overall Lowness-Physical Appearance Negative Type’. Conclusions By revealing that self-concept changes into various types, it shows the need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to promote social relationships, along with customized guidance according to the group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희용(Hee Yong Yang). (2024).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개념 잠재프로파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8), 243-260

MLA

양희용(Hee Yong Yang).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개념 잠재프로파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8(2024): 243-2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