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BL 수업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71

영문명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PBL Experienc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영제(Yeong Je Kim) 김민준(Min Jun Kim) 박소민(So Min Park) 원종수(Jong Su Won) 김대권(Dae Kwon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8호, 667~69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PBL에서의 학생과 교수자 경험을 도출하고 범주화한 상황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교실 생태계에서 PBL이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체계적 절차에 따라 논문 38편을 선정해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했다. PBL에 대한 학생과 교수자의 수업 경험을 도출하기 위해 연구 대상 논문을 개별 분석해 핵심 요소를 추출하고 공통적인 요소를 종합해 범주화했다. 최종적으로 PBL 수업 경험을 시각화한 상황 모형을 제시했다. 결과 학생은 PBL에 대해 흥미롭다고 인식했으며 주도적, 협업적 태도를 보였다. 수업 내용을 깊이 이해하고 미래 사회에 필요한 능력을 함양했다. 반면에 생소함에 반감을 표출했고 수업에 참여하지 않아 갈등이 발생했다. 교수자는 PBL이 학습자 중심 수업 방식이라고 인식했지만, 경험 부족으로 운영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긍⋅부정적 환경 요소가 있었으며 실천적 지식을 활용해 어려움을 극복했다. 결론 PBL이 교실 생태계에서 자리 잡기 위해 연수 및 교사 공동체 활성화와 종합적 관점에서의 교육 환경 변화가 필요함을 제언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icit student and teacher experiences with PBL, as well as to offer a categorized situational model that provides key data for integrating PBL into classroom ecosystems. Methods A total of 38 papers were selected through a systematic procedure and subjected to qualitative meta-analysis. To extract the classroom experiences of students and teachers in PBL, each paper was individually analyzed, and key elements were drawn out. Then, common elements were synthesized and categorized. Ultimately, a situational model that visualized the PBL class experience was proposed. Results Students perceived PBL as intriguing and demonstrated proactive and collaborative attitudes. They developed a deep understanding of the course content and acquired abilities essential for a future society. Conversely, they expressed reluctance due to unfamiliarity, and conflicts arose from non-participation. Teachers recognized PBL as a learner-centered instructional approach but faced challenges in implementation due to a lack of experience. There we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environmental factors, and teachers overcame difficulties by applying practical knowledge. Conclusions It is recommended that, to effectively establish PBL within classroom ecosystems, training and the activation of teacher communities are essential, along with comprehensive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제(Yeong Je Kim),김민준(Min Jun Kim),박소민(So Min Park),원종수(Jong Su Won),김대권(Dae Kwon Kim). (2024).PBL 수업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8), 667-695

MLA

김영제(Yeong Je Kim),김민준(Min Jun Kim),박소민(So Min Park),원종수(Jong Su Won),김대권(Dae Kwon Kim). "PBL 수업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8(2024): 667-6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