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헌천수의 음악적 고찰

이용수 109

영문명
A Study of Heoncheonsu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백만(Kim Baekman) 김윤조(Kim Yuncho)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4권 4호, 531~54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려시대부터 조선 전기 성종때까지 당악정재 헌선도 반주음악 중 하나인 헌천수의 음악적 고찰을 통해 다양한 악곡명에 관한 관계성, 변주방법 원리, 구성음을 파악하여 긴염불과의 음계 관계성을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를 진행한 결과, 첫째, 헌천수의 다양한 악곡명에 관해서는 헌천수는 염불, 긴염불, 산염불 등 다양한 곡명으로 불리지만 모두 동일한 곡임을 확인했다. 또한 현악영산회상 중 염불도드리의 파생곡으로 민간 음악인 대풍류긴염불과 같은 음악이며, 원래는 풍류대금으로 연주하였으나 김광식 선생이 국악예술학교에서 산조대금 4관 주법으로 지도한 이후부터 산조대금으로 연주하였음을 확인했다. 둘째, 헌천수를 연주하는 방법에 있어서 세 가지가 있음을 확인했는데, 원곡인 첫 음 太(F)로 연주하는 법과 첫음인 太(F)를 4도 내려서 南(C)으로 연주하는 법, 마지막으로 첫 음 太(F)를 2도 올려 姑(G)로 연주하는 법이다. 이 중 첫 음을 南(C)으로 하여 4도 전조한 변주법은 현악영산회상에서 평조회상으로 전조한 방법과 동일하며, 첫음을 姑(G)로 하여 2도 전조한 변주법은 가곡 태평가를 청성자진한잎으로 전조한 방법과 같고, 이러한 방법은 산조의 청을 이동하여 연주하는 ‘변청’과도 같은 방식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셋째, 헌천수와 대풍류 긴염불은 동일한 음악으로 레(黃:Eb)-미(太:F)-솔(仲:Ab)-라(林:Bb)-도(無Db) 레음계임을확인했다. 본 연구는 헌천수의 여러 곡명 간 관계성, 변주 방법, 변주곡 간 음계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헌천수의 변주적 특성과 이러한 특성이 창출된 배경을 규명함에 의의가 있으며, 차후 관련 연구는 본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다른 변주곡들의 변주적 특성을 함께 비교, 분석하여 시대가 변하여도 전해지는 변주곡 간 공유되는 특정 패턴과 차이점을각각 규명한다면 해당 곡들을 음악적으로 깊이 있게 이해함에 있어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us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by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musical names, variations, and composition sounds through musical consideration of Heoncheon-soo, one of the accompaniment music.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t was first confirmed that Heoncheonsu is called by various song names such as Yeombul, Ginyeombul, and Sanyeombul, but all of them are the same song. In addition, it was originally played with Pungryu Daegeum as a derivative of Yeombuldori among the string music awards, but it was confirmed that Sanjo Daegeum played with Sanjo Daegeum under the guidance of Kim Kwang-sik of the Korean Traditional Arts School. Second, there are three ways to play Heoncheonsu: how to play the original song, how to play the first note, how to lower the first note by 4 degrees, and how to play the first note by raising it by 2 degrees. Among them, it was confirmed that the variation method with the first note to the south is the same as the variation method with the first note of flatness, and the variation method with the first note as Cheongseong Jajin Hannip is the same as the variation method of playing Sanjo s Cheong. Third, it was confirmed that Heoncheonsu and Daepungryu Ginyeombul are the same music as Re( :Eb) - Mi( :F) - Sol( :Ab) - Ra( :Bb) - Do( :Db). This study is meaningful to investigate the variational characteristics of Heoncheonsu and the background of this characteristic by analyzing the variational characteristics of Heoncheonsu. This study is expected to lead to a follow-up study that analyzes the derivative principles and variation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헌천수 음악의 개관
3. 헌천수의 변주방법
4. 헌천수의 음계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백만(Kim Baekman),김윤조(Kim Yuncho). (2022).헌천수의 음악적 고찰. 문화와융합, 44 (4), 531-544

MLA

김백만(Kim Baekman),김윤조(Kim Yuncho). "헌천수의 음악적 고찰." 문화와융합, 44.4(2022): 531-5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