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홍성훈 오르간; 한국적 미와 소리

이용수 68

영문명
Hong Sung-Hoon’s Organ; Korean Sound and Beauty in Organ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소정화(So Jeonghwa)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4권 4호, 1059~107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홍성훈은 오르겔바우마이스터로서 오르간 제작의 불모지인 한국에서 20여년 간 오르간을 제작해오고 있다. 악기 제작에 대하여 ‘보이는 소리’인 외형과 ‘들리는 소리’인 음색이 악기에 생명을 부여한다는 철학을 견지하는 가운데, 공간과 외형, 그리고 음향의 조화를 중요시했다. 오르간이 설치될 공간과 균형을 이루며 어울릴 수 있는 외관디자인과 함께, 한국 오르간이 가져야 할 소리의 기본을 세우기 위해 한국의 피리와 프랑스 로맨틱 오르간 음향의성격을 그 토대로 정했다. 홍성훈은 한국적 소리를 위해 국악기를 차용하는 것보다, 오르간의 고유 음색을 한국적정서에 맞게 수정하고 다듬어서 한국적 오르간의 정체성을 세워가고 있다. 결국은 ‘홍플룻’, ‘프린지팔코리아’와 같은 한국적 음색을 창조해냄으로, 한국 오르간의 음향을 더욱 구체화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보이는 소리인 외형을위해 전통적 문양과 색, 주변의 풍광 등이 오르간의 외관 장식에 창의적으로 적용되었다. 악기가 설치되는 장소와의 균형과 어울림을 고려하여 전통적 미를 오르간의 외형과 음색을 통해 구현하였다. 많은 장벽이 있었음에도 이렇게 악기제작을 지속하게 만든 것은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이었다. 오르간이 악기의 본질에 맞는 역할을 하고, 한국적 미를 지닌 진정성 있는 예술작품으로 구현해 내려는 소명은 바로 악기제작을 지속하게 하는 원동력이었다. 이와 같이 홍성훈은 오르간의 한국적 정체성 구현을 위해 창의적인 시도와 실험을 지속함으로, 한국 오르간 제작의 역사를 써가고 있다.

영문 초록

Sung-Hoon Hong, as an Orgelbaumeister, has been making organs for over 20 years in Korea, a barren land of organ production. Regarding the production of musical instruments, while maintaining the philosophy that the appearance, which is the ‘sound to be seen’ and the tone, which is the ‘sound to be heard,’ give life to the instrument, he emphasized the harmony of space, appearance, and sound. In order to establish the basic sound that a Korean organ should have, along with an exterior design that can harmonize with the space where the organ will be install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flute and French romantic organ sound were set as the basis. Rather than borrowing traditional instruments for a Korean sound, Sung-Hoon Hong is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a Korean organ by modifying and refining the organ’s unique tone to fit the Korean sentiment. In the end, by creating Korean sound such as ‘Hong flute’ and ‘PrincipalKorea’, that of the Korean organ is further specified. On the other hand, traditional patterns, colors, and surrounding scenery were creatively applied to the exterior decoration of the organ for the appearance, which is the visible sound. Considering the balance and harmony with the place where the instrument is installed, traditional beauty was realized through the shape and tone of the organ. Despite the many obstacles, it was the sense of calling to the profession that made the musical instrument production continue. The organ plays a role that matches the essence of the instrument, and the vocation to realize it as a genuine work of art with Korean beauty was the driving force that continued to make musical instruments. As such, Sung-Hoon Hong is writing the history of Korean organ production by continuing creative attempts and experiments for the realization of the Korean identity of the organ.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소정화(So Jeonghwa). (2022).홍성훈 오르간; 한국적 미와 소리. 문화와융합, 44 (4), 1059-1070

MLA

소정화(So Jeonghwa). "홍성훈 오르간; 한국적 미와 소리." 문화와융합, 44.4(2022): 1059-10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