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숙영낭자전>의 영화화 양상 연구

이용수 89

영문명
A Study on the Motion Picture of Sukyeongnangjajeon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선현(Kim Seonhyeo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4권 3호, 509~53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숙영낭자전>은 1928년과 1956년에는 두 편의 영화로 제작되었다. 1928년에 제작된 영화 <숙영낭자전>은 이경손 감독이 이경손프로덕션을 창립하며 제1회 작품으로 제작한 흑백무성영화이다. 현재 영상을 확인할 수는 없으나 몇몇 자료와 당시 발행되었던 신문 자료를 통해 볼 때, 대체로 소설의 서사를 그대로 수용하면서 전통 탈을활용해 극중극의 형식을 선보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1956년에 제작된 영화 <숙영낭자전>은 신현호 프로덕션에서제작한 흑백 유성 영화로, 이운방이 각본을 쓰고 신현호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이 영화는 현재 영상 확인이 가능하여 이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 영화는 소설 <숙영낭자전>과 내용상 큰 차이를 보이는데, 선군과 숙영낭자의 결연과 훼절 모해 서사는 동일하지만, 시모, 시부 등 기존 인물의 성격을 바꾸고, 숙영낭자의 부모와 오빠등의 새로운 인물을 등장시켰다. 또한 숙영낭자의 오빠의 복수담과 위기에 빠진 낭자를 구하는 선군의 구원 서사, 시모의 박해와 낭자의 수난 서사로 전환하였다. 두 편의 영화는 이처럼 소설 <숙영낭자전>의 서사를 같고 또 다르게 구성하며, 1920년대 조선 영화계가 열망했던 ‘조선적인 것’을 담는 한편, 낭만적 사랑이나 개인의 복수극 등을 서사화했던 1950년대 한국 영화 문화 경향과 감독과 각색자의 관심, 전후의 시대 분위기를 반영하였다.

영문 초록

Sukyeongnangjajeon was enjoyed in various genres.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filmization pattern of Sukyeongnangjajeon which was produced in 1928 and 1956. The film Sukyeongnangjajeon (1928) is a black-and-white movie produced by director Lee Kyeongson as the first work by founding Lee Kyeongson Production. Currently, this film cannot be identified. However,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content of the film roughly from some data and newspapers published at the time. It is presumed that this film adopted the narrative of the novel Sukyeongnangjajeon, and showed the form of a play by using traditional masks. The film Sukyeongnangjajeon(1956) is a black and white planetary film produced by Shin Hyeonho Production, written by Lee Unbang and directed by Shin Hyeonho. This film can be watch at Korean Film Archive. However, narratives of the novel and the movie are very different. This movie emphasized the revenge story of Sukyoung’s older brother and tragic ending. The two films reflected the mood of the times and the trends of the 1920s and 1950s in Korea.

목차

1. 머리말
2. <숙영낭자전>(이경손 감독, 1928) : 기존 서사의 수용과 전통의 재발견
3. <숙영낭자전>(신현호 감독, 1956) : 기존 서사의 변용과 구원 수난 복수 서사로의 전환
4. 영화 <숙영낭자전>의 사회, 문화적 의미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현(Kim Seonhyeon). (2022).<숙영낭자전>의 영화화 양상 연구. 문화와융합, 44 (3), 509-530

MLA

김선현(Kim Seonhyeon). "<숙영낭자전>의 영화화 양상 연구." 문화와융합, 44.3(2022): 509-5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