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교육에서의 웹드라마를 활용한 문화 및 화용 교육 방안

이용수 980

영문명
Proposal for Teaching Culture and Pragmatic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Web-dramas: Focusing on “Office Watch Season 1”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이민경(Lee Minkyung)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4권 3호, 77~10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웹드라마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과 문화와 화용 간의 긴밀한 연관성에 주목하여 <오피스워치 시즌1> 을 바탕으로 한 문화 및 화용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해당 작품에서 눈치, 나이, 팬덤/덕질, 고백 문화의 ‘일상문화’ 요소, 호칭어, 상대높임법 등급의 혼용, 애교, 코드스위칭의 ‘언어문화’ 요소, 명령 화행, 거절 화행, 대화의 함축, 칭찬 응답 화행의 ‘화용’ 요소를 도출하여 분석하였다. 그 후 해당 작품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온라인 사전 학습, 오프라인 교실 수업, 온라인 후속 학습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학습자는 ‘온라인 사전 학습’에서 개별적으로 영상을 시청하며 줄거리를 파악한 후에 ‘오프라인 교실 수업’에 참여하여 한국의 일상문화, 언어문화, 화용 요소를 학습하고 이를 자국의 문화 및 화용과 비교하게 된다. ‘온라인 후속 학습’ 에서는 문화 보고서를 작성하고 화행 전략의 적용을 연습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이러한 교육 방안은 학습자의 학습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고 한국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도모하며 그들의 성공적인 의사소통 수행을 도울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웹드라마를 활용한 문화 및 화용 교육을 다룬 연구의 수가 드물다는점을 고려했을 때 본 연구의 의의가 증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pragmatics and the potential of web-dramas for their utilization in educational setting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Korean language educational model for culture and pragmatics based on the first season of the web-drama series “Office Watch.” In order to accomplish this goal, this study extracts and analyzes three types of elements found in the series, which are (1) commonplace cultural aspects such as nunchi, age, fandom/fangirling, and confession culture, (2) sociolinguistic elements such as terms of address, mixed usage of honorific levels, aegyo, code-switching, and (3) pragmatic elements such as command speech act, refusal speech act, conversational implicature, and complimentresponse speech act. Next, the study suggests educational proposals which use web-dramas, categorizing them as online pre-learning, offline classroom learning, and online follow-up learning. Through the online pre-learning, students watch videos individually and follow the plot and narrative themselves. Afterward, they participate in an offline classroom, gaining an understanding of cultural, sociolinguistic, and pragmatic aspects of Korean culture and compare these elements with the cultures from their home country. Lastly, through the online follow-up learning course, students write reports about Korean culture and apply the speech-act strategies learned in class to real-life situations. This educational proposal aims to stimulate students’ interest and raise motivation in their studies while encouraging a deep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their successful communication. The fact t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currently lacks culture- and pragmatics-based studies using web-dramas further adds significance to this research.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고찰
3. <오피스워치 시즌1>에서 도출할 수 있는 문화 및 화용 요소
4. <오피스워치 시즌1>을 활용한 문화 및 화용 교육 방안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민경(Lee Minkyung). (2022).한국어교육에서의 웹드라마를 활용한 문화 및 화용 교육 방안. 문화와융합, 44 (3), 77-105

MLA

이민경(Lee Minkyung). "한국어교육에서의 웹드라마를 활용한 문화 및 화용 교육 방안." 문화와융합, 44.3(2022): 77-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