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입생 대학 적응 요인에 대한 메타 분석

이용수 404

영문명
Meta Analysis on the Factors for the Adjustment to College of Freshmen: Focusing on the Domestic Research from 2001 to 2020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홍성연(Hong Seongyoun) 김인수(Kim Insu)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4권 3호, 169~18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난 20년 간 대학 신입생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연구마다 관련 변인, 조사 도구, 참여 학생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어떤 요인이 신입생 적응에 상대적으로 더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어려웠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신입생 적응에 영향을 미친 변인의 효과크기를 비교함으로써 신입생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학술정보연구서비스(riss.kr)에서 2001년부터 2020년까지 연구초록에 ‘대학’, ‘신입생’, ‘적응’을 포함된 논문은226편이었다. 이 중 대학 신입생 적응에 관한 상관계수가 포함된 총 33개 논문에서 산출된 94개 변인을 대상으로효과크기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인지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의 효과크기가 정서적 요인보다 높았다. 효과크기가.5이상으로 큰 요인은 인지적 요인에서 학습전략(.578), 사회적 요인에서 의사소통(.555)과 대학만족도(.530), 정서적 요인에서는 효능감(.552)이었다. 스트레스(-.450)과 정서장애(-.367)는 부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대학에서의 학습전략에 빠르게 적응하고, 효능감을 바탕으로 다양한 소통을 통해 관계를 확장하고, 대학에 소속감과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신입생의 적응을 유도하는데 중요하였다. 또한, 대학에서 학습실패는 효능감을 비롯한 정서적 요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대학에서의 활동을 소극적으로 위축시키기 때문에 학습에 대한 지원이 기초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During the past two decades, a lo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djustment to college of freshmen. However,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which factors had the higher significant effect on freshmen adjustment than others according to the different variables, survey tools and participants for each stud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adjustment of freshmen by comparing the effect sizes of related variables using meta analysis. In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kr), from 2001 to 2020, there were 226 articles including “university”, “freshman”, and “adjustment” in the research abstract. A total of 33 articles, among them, including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selected and 94 variables were extracted verifying the effect size. As a result, the effect sizes of cognitive and social domains were higher than that of affective domain. Factors with the effect size of .5 or more were learning strategy (.578) in cognitive domain, communication skills (.555), college satisfaction (.530) in social domain, and efficacy (.552) in affective domain. Stress (-.450) and emotional disorder (-.367) showed negative effects in the affective domain. In conclusion, it was important for freshmen to quickly adapt to the learning strategy in college, expand relationships with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based on efficacy, and increase the sense of belonging and satisfaction in college. Learning support is the most important for freshmen’s adjustment in college because learning failure negatively affects efficacy and passively dampens participation in college activitie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분석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성연(Hong Seongyoun),김인수(Kim Insu). (2022).신입생 대학 적응 요인에 대한 메타 분석. 문화와융합, 44 (3), 169-189

MLA

홍성연(Hong Seongyoun),김인수(Kim Insu). "신입생 대학 적응 요인에 대한 메타 분석." 문화와융합, 44.3(2022): 169-1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