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葬儀禮와 古典文學에 나타난 죽음觀考究

이용수 98

영문명
Study of Thoughts of Death in Funeral Rites and Classical Literature: Focused on Jemangmaega and Princess Bari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최성기(Choi Seongki)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4권 3호, 943~96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인간은 그 누구든지 한번은 언젠가 겪어야 할 일이 죽음이다. 태어나서 늙어서 병들고 죽게 된다. 이를 인간의일생이라고 한다. 인간은 죽게 되면 저승으로 가는 사후세계가 존재한다고 믿는다. 죽음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대답이야말로 또 다른 삶을 열어주는 첩경이기 때문이다. 죽음은 인간의 궁극적 관심사인 사후문제로 처리하는 의식이 따르게 된다. 병과 죽음에의 모든 관심은 단지 삶에 대한 관심의 다른 표현이다. 문학은 끊임없이 죽음에 반항하는 모습을 보인다. 한국 고전문학 작품 속에 나타나는 죽음관을 살펴 우리 선인들의 타계관이 어떠했는지를 찾아보겠다. 신라 향가중 月明師의 「祭亡妹歌」와 서사무가 「바리공주」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두 편 다 죽음을 주제로한 작품이며 전자는 시가문학이고 후자는 산문문학으로 죽음에 관한 시대상을 함축하고 있는 작품이기 때문이다. 「제망매가」는 삶의 諸行無常과 함께 이를 초극하고자 하는 불교적 사생관을 궁극적으로 아미타불[無量壽]에귀의를 바라는 기원詩이다. 곧 佛家에서 말하는 顯界와 冥界가 통합되는 융합정신을 노래로써 葬送하고 있다. 서사무가 「바리공주」는 주인공인 바리공주가 고난을 극복하고 神이 된다는 영웅담으로 祭儀에서 불리는 신성성과 주술성이 있는 문학이다. 한국인의 사생관 내지 신화적인 우주관의 저변을 형성하는 것은 민중신앙으로서 巫俗이다. 이러한 사생관은 진오기굿으로 살풀이 하는 解冤사상을 갖고 있다. 죽음이 산 자의 것이듯 죽음의 의례 역시 산 자의 것임을 상장의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Man must experience death at some point in his or her life. They are born, get old, get sick, and die. This is called a human lifetime. People believe that there is a world after death, in other words, they go to an afterlife when they die. This is because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death?” is the shortcut that opens another life. What follows is a consciousness that treats death as a problem after death, the ultimate concern of man. All concerns for disease and death are just different expressions of concerns for life. Literature constantly defies death. This study would examine the thoughts of death appearing in Korea’s classical literature to find what our foregoers’ view of the other world was like. Of the Shilla Hyang-ga, Master Wolmyeong’s Jemangmaega and the epic shaman song, Princess Bari,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analysis. Both have death as a subject, and the former is poetic literature while the latter is prose literature, a work that implies the phases of the times on death. Jemangmaega is a poem of prayer that demonstrates that all worldly things (Jehaengmusang- Sabbe sankhara anicca) are impermanent and turns the Buddhist view of death and life to transcend this ultimately to Amitabha Buddha (Muryangsu). In other words, a spirit of convergence that the world of the living and the world of the dead overlap in Buddhism is sung at the funerals. The epic shaman song Princess Bari is a heroic tale in which the heroine Princess Bari overcomes hardships and becomes a god, which is literature with sanctity and magical nature sung in rituals. Koreans’ view of life and death or what forms the basis of the mythical view of the universe is shamanism as a faith of the people. This view of life and death has the idea of paying off each other’s grudges (Haewon) to hold a Salpuri ritual with a Jinogi-gut ritual. It was found through the funeral rites. that, just like death belongs to the living, the rite of death also belongs to the living.

목차

1. 序論
2. 喪葬儀禮와 死生觀
3. 祭亡妹歌 와 바리공주 에 나타난 죽음觀
4.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성기(Choi Seongki). (2022).葬儀禮와 古典文學에 나타난 죽음觀考究. 문화와융합, 44 (3), 943-967

MLA

최성기(Choi Seongki). "葬儀禮와 古典文學에 나타난 죽음觀考究." 문화와융합, 44.3(2022): 943-9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