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60-2000년대 광화문 공간의 재구축에서 ‘전통과 현대’

이용수 683

영문명
“Tradition and Modernuty” in the renewal of “space of Gwanghwamun Gate” from the 1960s to the 2000s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염복규(Yum Bokkyu)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4권 3호, 911~92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2022년 7월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의 완료에 즈음하여 1960년대 이래 ‘광화문 공간’의 역사적 변천을 살펴본 것이다. 1960-2000년대 광화문 공간의 변형의 저류에는 ‘전통의 복원’과 ‘현대의 질주’라는 상반된 욕망이 다양하게 뒤얽혀 있었다. 이는 크게 두 단계로 나뉘어진다. 1960-70년대 박정희 정부의 발전국가는 중앙청 복구를 시작으로 광화문 공간을 전통의 동원과 현대의 건설이라는 두 축의 상징정치의 전시장으로 만들었다. 이순신동상 건립, 광화문 중건이전자라면 광화문지하도 건설, 세종로 확장은 후자에 해당한다. 1980-2000년대 민주화 이행과 선진국 진입의 국면을 거치며 광화문 공간에서는 전통과 현대의 균열이 일어나고그를 봉합하기 위한 시도가 계속되었다. 경복궁 복원, 구 조선총독부 건설 철거, 광화문 목조 복원, 광화문광장의건설 등이 그것이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완성된 광화문광장은 서로 다른 여러 역사적 상징성이 중첩된 복합적인 역사 공간이라고할 수 있다. 앞으로 광화문광장은 이런 다양한 역사적 흔적을 미래로 전달하는 매개체가 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the “space of Gwanghwamun Gate” since the 1960s, on the occasion of the completion of the restructuring project of the Gwanghwamun Square in July 2022. From the 1960s to the 2000s, this iconic center of the capital Seoul was transformed by two conflicting desires to reconstruct tradition and accelerate modernity. Its transition process can be divided into two phases: First, during the 1960s-70s, the Park Chung Hee regime, a ruthless driver of development, made Gwanghwamun an exhibition site of symbolic politics based on mobilizing tradition and constructing modernity. In its initial stage, Jungangchung, the colonial government building, which was partly destroyed during the Korean War, was restored. As a traditional landmark, a statue of Admiral Yi Sunsin of the Chosun dynasty was erected and Gwanghwamun, the main gate of Gyeongbok Palace was reconstructed. For promoting modern infrastructure, the Gwanghwamun underpass was constructed under Sejongro, the main streets along the area, which was also expanded. In the second phase, during the 1980s 2000s, Korea became one of the more democratic and developed countries, and the space came to reveal the fissure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and attempts of reconciling two conflicting forces. Several major projects took place in the area: the re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Palace, the demolition of Jungangchung, the restoration of wooden structures of Gwanghwamun, the construction of the Gwanghwamun Plaza. Today, Gwanghwamun Plaza has become a space with complicated historic significance, where several different symbolisms overlap one another and should bear testimony of this complicated historic legacy to the future generation.

목차

1. 머리말
2. 광화문 공간에서 전통의 동원과 현대의 건설
3. 광화문 공간에서 전통과 현대의 균열 및 봉합의 시도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염복규(Yum Bokkyu). (2022).1960-2000년대 광화문 공간의 재구축에서 ‘전통과 현대’. 문화와융합, 44 (3), 911-925

MLA

염복규(Yum Bokkyu). "1960-2000년대 광화문 공간의 재구축에서 ‘전통과 현대’." 문화와융합, 44.3(2022): 911-9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