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직이수 대학생들의 의사소통불안 수준에 따른 지각된 실재감과 수업만족도의 관계에서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이용수 450

영문명
Moderating Effect of Inter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resence and Cours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of Students who completed Teaching Profession: Focusing on Online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현주(Lee, HyunJu)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4호, 133~148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온라인 소그룹 협동학습 환경에서 의사소통불안 수준에 따른 지각된 사회적실재감⋅교수실재감과 수업만족도의 관계에서 상호작용 수준의 조절효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의사소통불안을 겪는 교직이수 대학생들을 위한 효과적인 온라인수업설계 방향을 제언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21-1학기 교직이론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교직이수 학생 64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SPSS통계분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t-검증을 실시하였고,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각 수준별 t값 유의수준을 통해 조절효과의 유의성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사회적 실재감과 수업만족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불안 ‘상’ 수준 학생들의 경우, 모든 상호작용 수준(상, 중, 하)에서 수업만족도를 강화하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의사소통불안 ‘중’ 수준의 경우에는 상호작용 ‘중’, ‘하’ 수준에서 수업만족도를 강화하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교수실재감과 수업만족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불안 ‘상’ 수준의 경우, 모든 상호작용 수준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의사소통불안 ‘중’ 수준의 경우 상호작용 수준 ‘중’, ‘하’ 수준에서 수업만족도를 강화하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교수실재감과 상호작용 수준이 높아질수록 수업만족도는 낮아지는 역전현상을 나타내었다. 결론 의사소통불안이 높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수업의 경우 보다 효과적인 수업을 위하여 텍스트기반의 상호작용매체와 소그룹 협동학습의 중요성, 그리고 의사소통불안 수준에 따른 실재감의 차별적인 효과성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compare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teraction lev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presence, teaching presence, and course satisfaction perceived by students who completed teaching profess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in online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 Methods The subjects were 64 students in the teaching profession course in Semester 21-1.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First, in the case of the ‘high’ level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the interaction level(high, middle, low) showed a moderating effect to strengthen the cours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ence and course satisfaction. And in the case of the ‘medium’ level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the interaction level(middle, low) showed a moderating effect to strengthen the cours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ence and course satisfaction. Second, in the case of the ‘high’ level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the interaction level(high, middle, low) did not show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course satisfaction. However, in the case of the ‘medium’ level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the interaction level(middle, low) showed a moderating effect to strengthen the cours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course satisfaction. In addition, as the level of teaching presence and interaction increased, the satisfaction of the course decreased.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text-based interactive media and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differential effectiveness of pres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for more effective online courses for students with high communication apprehension reported. In additi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discussed together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suggested for future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주(Lee, HyunJu). (2021).교직이수 대학생들의 의사소통불안 수준에 따른 지각된 실재감과 수업만족도의 관계에서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24), 133-148

MLA

이현주(Lee, HyunJu). "교직이수 대학생들의 의사소통불안 수준에 따른 지각된 실재감과 수업만족도의 관계에서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4(2021): 133-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