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전공능력 측정 모델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756

영문명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ajor Ability Measurement Model: Focusing on the case of S Universit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상훈(Sanghoon Park) 이재창(Jaechang Lee) 한송이(Songie Ha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4호, 503~52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전공능력에 대한 학술적 의미를 고찰하여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공능력 측정에 적합한 모델 및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데 있다. 방법 전공능력과 관련한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전공능력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공능력 측정 모델을 구성하여 전문가 자문을 통한 1차 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수업 적용 및 적용 결과에 대한 설문조사와 초점집단면접(FIG)을 통한 2차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여 최종 모델을 확정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능력을 ‘전공역량의 일부분으로서 겉으로 관찰가능하며 역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동원되는 전공 내 지식 또는 기능’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전공능력 측정을 위한 ABLE 모델을 개발하고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전공능력 도출(Ability), 전공능력 설정(Base), 전공능력 배양(cuLtivation), 전공능력 측정(Estimation)의 4단계가 대학의 전공능력을 설정하고 측정하기 위한 절차 및 방법으로 타당함을 검증하였다. 셋째, ABLE 모델의 각 단계별 하위요소를 설정하고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전공능력 도출 단계에서는 ‘내⋅외부 환경분석’, ‘산업전망 및 인력수급 현황 분석’, ‘주요 취업 분야 직무 분석’ 3개의 하위요소, 전공능력 설정 단계에서는 ‘전공능력 모델링(후보군 선정 및 분류)’, ‘전공능력의 정의 및 기술 내용’ 2개의 하위요소, 전공능력 배양 단계에서는 ‘전공능력별 교과목 매칭’, ‘전공교육과정 분석 및 교육내용 도출’, ‘전공교육과정 재구성’ 3개의 하위요소, 전공능력 측정 단계에서는 ‘수행평가’, ‘학생자가진단’ 2개의 하위요소가 최종 확정되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전공능력 제고를 위한 방안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a concept by considering the academic meaning of major ability through analysis of prior research, an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model for measuring major ability. Methods First,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group interview, the concept of major ability was defined and the major ability measurement model was constructed. Second, after applying to actual classes, validity was secured through surveys and FGI interview. The final model was confirmed. Results The detaile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major ability was defined as ‘knowledge or skills within the major that are observable and mobilized to solve microscopic problems as a part of major competency’. Second, an ABLE model(4 steps) was developed and validity was secured. Third, sub-elements of each stage of the ABLE model were established and validity was secured.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students major ability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대학 전공능력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상훈(Sanghoon Park),이재창(Jaechang Lee),한송이(Songie Han). (2021).대학 전공능력 측정 모델 개발 및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24), 503-521

MLA

박상훈(Sanghoon Park),이재창(Jaechang Lee),한송이(Songie Han). "대학 전공능력 측정 모델 개발 및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4(2021): 503-5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