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과교육 관점의 교과서 검⋅인정 기준 재구조화 연구

이용수 226

영문명
A study of restructuring the current evaluation criteria for textbook adop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matter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경한(Kyong-Hahn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4호, 747~76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교과교육 관점에서 교과서의 질적 개선을 위한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교과 변환 평가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현행 ‘교과목별 검⋅인정 기준’을 재구조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기존의 교과서 개발 모형 이론 및 현행 국가 수준의 교과서 검⋅인정 기준의 내용을 분석하고 새로운 교과서 검⋅인정 기준을 확립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교과 내용 변환의 일반적인 기준뿐만 아니라 교과 내용의 질적 변환을 검증하는데 유용한 범교과 변환 평가 기준을 교과교육 지식의 전문성을 나타내는 PCK의 개념을 토대로 PCK의 다섯 가지 구성요소, ‘교육과정지식,’ ‘교과내용지식,’ ‘교수법지식,’ ‘학습자지식,’ ‘교육환경지식’을 평가 척도로 확립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교과교육 관점의 범교과 변환 평가 기준은 기존의 ‘교과목별 검⋅인정 기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교과내용지식’ 심사영역에 ‘간략화 완성도,’ ‘교수법지식’ 심사영역에 ‘교수보조자료의 적합성,’ 학습자지식 심사영역에 ‘동기부여,’ ‘교육환경지식’ 심사영역에 ‘편집 기능의 우수성’이라는 새로운 심사항목을 각각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범교과 변환 평가 기준은 교과 내용의 질적 우수성 및 현장 중심의 실천적 지식을 반영하는 보다 타당도 높은 교과 변환 준거를 확립함으로써 현행 교과서 검⋅인정 기준의 질적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restructures the current evaluation criteria of textbook adop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matter education. Methods The study reviewed the theories of textbook development and the current national-level textbook evaluation criteria, and established the five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curricular knowledge,’ ‘subject-matter knowledge,’ ‘pedagogical knowledge,’ ‘learner knowledge,’ and ‘knowledge of educational contexts,’ which represent the expertise of the knowledge in subject-matter education, as evaluation scales for the subject transformation evaluation criteria, which are useful for assessing not only the general standards but also the quality excellence in the course of subject transformation. Results The subject transformation evaluation criteria add to the current national textbook adoption criteria, such evaluation items as ‘completeness of simplification,’ ‘appropriateness of teaching aids,’ ‘motivation,’ and ‘excellence of editing.’ Conclusions This subject transformation evaluation criteria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present textbook adoption standards by establishing more valid subject transformation criteria that assess the quality excellence of subject transformation and the practical knowledge in school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국가 수준의 교과서 검정 기준의 문제점
Ⅲ. 교과교육 관점의 교과 변환 기준 개발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한(Kyong-Hahn Kim). (2021).교과교육 관점의 교과서 검⋅인정 기준 재구조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24), 747-763

MLA

김경한(Kyong-Hahn Kim). "교과교육 관점의 교과서 검⋅인정 기준 재구조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4(2021): 747-7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