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에서의 집중이수제 교과목 운영에 참여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인식과 개선요구에 관한 연구

이용수 422

영문명
A Study on Undergraduate Learners’ and Instructors’ Perception and Calls for Improvement of Intensive Course Completion Syste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하오선(Ohsun Ha)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4호, 791~80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집중이수제로 진행된 13개 교과목에 참여한 학습자와 교수자를 대상으로 집중이수제에 대한 인식과 개선요구 사항을 분석하여 집중이수제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한다. 방법 서울 소재 4년재 종합대학에서 진행된 집중이수제 교과목 수강생과 수업을 진행한 교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25.0와 Nvivo12를 활용하였고 학생126명(36.2%), 교수 7명(70%)자료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결과 첫째, 학습자와 교수자의 집중이수제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편이며, 모든 항목에서 학습자에 비해 교수자 점수가 높았다. 둘째,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 교과목 수강과 개설 의향이 높았다. 셋째, 학습자의 시간활용과 학습부담감소를 위해 집중이수제 교과목을 수강했고, 교수자는 실습의 용이성, 학생의 집중도 향상, 수강생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교과목을 개설했다. 넷째, 학습자가 인식하는 집중이수제 장점은 ‘빠른 종강(34.31%)’, ‘단기간 집중학습(26.47%)’, ‘효율적인 시간관리(17.65%)’ 등으로 교수자와 비슷한 이유였다. 다섯째, 학습자는 ‘수업시간조정(16.84%)’, ‘개설과목의 다양화(14.74%)’, ‘커리큘럼 개선(13.68%)’ 등에서 개선을 요구했고, 교수자는 수업준비와 운영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대책 등을 요구했다. 결론 집중이수제는 중등교육 환경에서는 실패했지만, 다른 교육환경을 가진 대학에서는 자율성과 다양성을 확대하여 교과목별 특성에 맞게 수업형태를 지원한다는 측면에서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o make suggestions for the intensive course completion system operation by analyzing the perception and calls for improvement thereof by undergraduate learners and instructors who participated in 13 intensive units. Methods Undergraduate students(n=126, 36.2%) and instructors(n=7, 70%) who participated in the intensive courses at a university in Seoul were surveyed. Results First, both the learners and instructors showed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with the intensive course completion system, with the latter rating all the items higher than the former. Second, the learners and instructors showed strong intentions to enroll in and offer the intensive courses, respectively. Third, the learners enrolled in the intensive courses to manage time efficiently and reduce the burden of studying, whereas the instructors offered the intensive courses to help students focus on practical skills and improve their concentration on learning and to take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to consideration. Fourth, the learners perceived ‘early finish(34.31%)’, ‘short-term intensive learning(26.47%)’ and ‘efficient time management(17.65%)’ as the benefits of taking the intensive courses, which findings were comparable to the instructors’ response. Fifth, the learners thought the intensive courses should be improved in terms of the ‘adjustment of class time(16.84%)’, ‘diversification of intensive units(14.74%)’ and ‘improvement of curriculum(13.68%)’, whereas the instructors called for some measures to reduce their burden of class preparation(42.86%) and class operation(42.86%).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e viability of the intensive course completion system in terms of the extended autonomy and diversity and the support for the modes of class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rse offered in universities whose educational environment differs from that of the secondary schools where the system fail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오선(Ohsun Ha). (2021).대학에서의 집중이수제 교과목 운영에 참여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인식과 개선요구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24), 791-802

MLA

하오선(Ohsun Ha). "대학에서의 집중이수제 교과목 운영에 참여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인식과 개선요구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4(2021): 791-8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