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NS중독경향성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이용수 2373

영문명
A Meta-Analysis of the SNS Addiction Proneness among 66 studies in South Korea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기화(Hwa Ki) 정남운(Nam-Woon Chung) 서준호(Junho Se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4호, 803~82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SNS중독경향성과 이와 연관이 있는 변인들과의 상관관계 효과크기를 확인하고 이와 같은 상관관계에 영향을 주는 조절변인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출간된 학술지 논문 중 SNS중독경향성과 개인 심리내적 변인 관련 논문 66편을 메타분석하였으며, 분석대상 연구물에서 총 52개의 효과크기가 산출되었다.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분석연구를 선정하고, 선정된 연구의 효과 크기를 도출하고, 다양한 조절 변수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SNS중독경향성 연구의 증거기반 실제를 위한 효과적인 분석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R-4.0.3-win의 ‘meta’, ‘metafor’ 패키지를 R Studio-1.3.1093상에서 활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연구에 포함된 논문은 2012년부터 2020년 10월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66편이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관계 메타분석 결과 5개의 SNS중독경향성 관련 변인들 중 효과크기가 가장 큰 변인은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었다. 다음으로 대인관계문제, 불안애착, 자기애, 자존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장 많은 연구 수행 빈도를 보고한 자기애 변인에 대한 조절효과 분석에서 자기애의 유형을 분류해주는 척도에서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현재까지 국내에서 수행되어온 SNS중독경향성 관련 연구 변인에는 소외에 대한 두려움, 다음으로 대인관계문제, 불안애착, 자기애, 자존감등이 큰 효과크기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 변인들에서 상이한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후 이에 대한 상담 관련 함의와 향후의 미래 연구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effect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related to SNS Addiction Proneness. Methods A total of 66 peer-reviewed articles from 2012 to 2020 October in Korea were finally selected for calculation of effect size by meta-analysis.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 studio and ‘meta’, ‘metafor’ packages. Results The research found two main result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meta-analysis of the correlation effects, the Fear of Missing Out was found to show the biggest effect size among the five SNS addiction-related variables, followed by Interpersonal Problems, Adult Attachment Anxiety, Narcissism, and Self-Esteem. Second, our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found that the Narcissism scale (that categorizes the type of Narcissism) had the biggest moderating impact.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the psychological implications of the SNS Addiction Proneness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counseling intervention rehabilitat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기화(Hwa Ki),정남운(Nam-Woon Chung),서준호(Junho Seo). (2021).SNS중독경향성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24), 803-822

MLA

기화(Hwa Ki),정남운(Nam-Woon Chung),서준호(Junho Seo). "SNS중독경향성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4(2021): 803-8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