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 불만 접수 실태 및 불만 처리 과정에 대한 인식
이용수 123
- 영문명
-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the status of parents’ complaints agains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complaint handling process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저자명
- 조명주 장정윤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9권 제1호, 5~3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직 유아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불만 접수 정도와 학부모 불만 처리 과정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만 3, 4, 5세 학급 담임 교사 203명이고, 자료 수집을 위해 이채영(2020)의 설문지를 학부모용에서 교사용으로 수 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의 배경변인과 관련해서는 교사의 연령이나 교육경력이 낮거나 높을수록, 대학원 재학 이상의 집단일수록 학부모 불만 접 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치원 근무 집단보다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들 과 만 4세 학급 교사들의 학부모 불만 접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 불만 처 리 과정과 관련하여 교사들은 학부모 불만이 학급 운영과 교육과정에 도움이 되기에 대체로 긍 정적으로 수렴하고 있으며, 선배 교사들과 상의하여 해당 불만들을 해결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교사들은 때때로 부모들로부터 무시당하는 느낌을 받거나 두려움을 갖게 된다 고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학부모 불만의 차이를 고려한 교사교육 방안 마련과 교사-부모 관계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를 위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complaints received by current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and their level of awareness of the parent complaint handling process. A total of 203 homeroom teachers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participated in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younger or higher the teacher’ s age or teaching experience, and the group enrolled in graduate school or higher, who were received the lower the level of parental complaints received. Second, with regard to the parent complaint handling process, teachers reported that they generally responded positively to parent complaints because they were helpful to class management and the curriculum, and that they resolved the complaints in consultation with senior teachers. However, during this process, teachers expressed that they sometimes felt ignored or agitated by parents.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the need for tailored teacher education programs which acknowledge differences in parental complaints according to teacher background variables and initiatives for to change social perceptions of teacher-parent relationship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놀잇감 공유에 대한 유아의 생각
- 현직 유치원 교사의 현장 사례 기반 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과 요구
- 유치원 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관심 및 참여의 교육적 효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 어머니의 부모신념과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배우자협력과 어머니-자녀관계의 매개효과
- MZ세대 남성의 자녀 양육 경험을 통한 정책 개선방안 탐색: 육아휴직 경험을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 지식(TPACK)과 테크놀로지 활용 간의 관계
-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 불만 접수 실태 및 불만 처리 과정에 대한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