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Z세대 남성의 자녀 양육 경험을 통한 정책 개선방안 탐색: 육아휴직 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312
- 영문명
- Exploration of policy improvement measures through the experience of raising children of MZ-generation men: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parental leave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저자명
- 정우영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9권 제1호, 133~16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MZ세대 남성의 육아휴직 경험을 심도 있게 살펴보아 양육지원 정책의 정착 및 개 선방안을 탐색하여 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22-2023년 육아휴직 중이거나 육아휴직 경험이 있는 연구 참여자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2023년 3월 부터 12월까지 개별 심층면담을 3회씩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질적 내 용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육아휴직을 통한 자녀 양육 경험으로는 ‘보람으로 가득 찬 육아휴직 기간’, ‘양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편리함’, ‘SNS를 활용한 양육 정보 교 류’, ‘자기개발을 위한 또 다른 시간’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구 참여자들이 제시한 사회적 지원 요구는 ‘촘촘한 의료 체계 구축 마련 필요’, ‘양육자로서 소통창구 부재’, ‘남성 양육자의 돌봄 공간에 대한 요구’, ‘복직 후에 대한 불안함의 연속’, ‘가계 상황에 대한 부담감의 연속’ 으로 제시되었다. 도출된 연구 결과는 육아휴직제도를 경험한 MZ세대 남성들의 만족도와 현 황, 보완점을 제시하여 남성 육아휴직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또한 양육지원 관련 정책 및 서비스의 안정화와 고도화 도모를 위한 시사점 제공으로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by examining the experience of MZ generation men during parental leave in-depth and exploring ways to establish and improve parenting support policies. Five participants who were on parental leave or had experience in parental leave from 2022-2023 were selected. From March to December 2023,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ee times each to collect dat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employed to analyze interview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ence of raising children during parental leave was noted as ‘a period of parental leave filled with treasure’, ‘the most important thing in parenting is convenience’, ‘exchanging parenting information utilizing SNS’, and, ‘extra time for selfdevelopment’. Additionally, the participants proposed the following demands ‘need to establish a dense medical system’, ‘absence of a communication channel as a caregiver’, ‘demand for a caring space for male caregivers’, ‘continuous of anxiety after reinstatement’, and ‘continuous of burden on household circumstances’. These research outcomes propose strategies to revitalize male parental leave by suggesting the satisfaction, status, and complementary points observed among MZ generation men who have undergone the parental leave system. Moreover, the study offers insights for stabilizing and upgrading policies and services related to parenting suppor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놀잇감 공유에 대한 유아의 생각
- 현직 유치원 교사의 현장 사례 기반 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과 요구
- 유치원 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관심 및 참여의 교육적 효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 어머니의 부모신념과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배우자협력과 어머니-자녀관계의 매개효과
- MZ세대 남성의 자녀 양육 경험을 통한 정책 개선방안 탐색: 육아휴직 경험을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 지식(TPACK)과 테크놀로지 활용 간의 관계
-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 불만 접수 실태 및 불만 처리 과정에 대한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