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머니의 부모신념과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배우자협력과 어머니-자녀관계의 매개효과
이용수 146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alliance and mother-child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al beliefs and parenting behaviors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저자명
- 안예슬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9권 제1호, 165~18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의 부모신념, 양육행동, 배우자협력, 어머니-자녀관계의 전반적 경향과 변인 간 관 계를 파악하고, 부모신념과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배우자협력과 어머니-자녀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서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 181명이 었고, 각 변인의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Baron 과 Kenny(1986)의 단계적 회귀분석을,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붓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부모신념(자녀에 대한 신념, 부모에 대한 신념), 양육행동, 배우 자협력, 어머니-자녀관계(친밀, 갈등) 간에 대체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자녀에 대한 신념과 갈등 간에, 부모에 대한 신념과 양육행동 간에, 부모에 대한 신념과 친밀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둘째, 상관관계가 유의한 변인들에 한해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녀에 대한 신념과 양육행 동 간 관계에서 배우자협력의 부분매개효과가, 자녀에 대한 신념과 양육행동 간 관계에서 친밀의 부 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온정적인 양육행동을 도모하기 위해서 는 부모신념과 더불어 배우자협력과 어머니-자녀관계를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overall trends and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in parental beliefs, parenting behaviors, parenting alliance, and mother-child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s mothers, while also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alliance and mother-child relationships o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beliefs and parenting behaviors. 181 mothers of young children living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employed to discern the tendencies of each variable, Baron and Kenny’ s (1986)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and Bootstrapping was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ener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arental beliefs (beliefs about children, beliefs about parents), parenting behavior, spousal cooperation, and mother-child relationship (intimacy, conflic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beliefs about children and conflict, between beliefs about parents and parenting behavior, or between beliefs about parents and intimac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nly for variables with significant correlations,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alliance and intimacy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s about children and parent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ostering parenting alliance and nurturing positive mother-child relationships alongside reinforcing parental beliefs to promote warm parenting behaviors among mot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놀잇감 공유에 대한 유아의 생각
- 현직 유치원 교사의 현장 사례 기반 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과 요구
- 유치원 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관심 및 참여의 교육적 효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 어머니의 부모신념과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배우자협력과 어머니-자녀관계의 매개효과
- MZ세대 남성의 자녀 양육 경험을 통한 정책 개선방안 탐색: 육아휴직 경험을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 지식(TPACK)과 테크놀로지 활용 간의 관계
-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 불만 접수 실태 및 불만 처리 과정에 대한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