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 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관심 및 참여의 교육적 효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이용수 98
- 영문명
- Effects of parents’ involvement in kindergarten education: Focusing on teacher-children interaction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저자명
- 김지은 송효준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9권 제1호, 89~11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학부모의 유치원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유아교육의 질에 미치 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교육의 질적 측면에서 교사와 유아 간의 상호작용에 초 점을 맞추어 학부모의 유치원 교육에 대한 관심과 참여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육 아정책연구소’에서 제공하는 한국아동패널(Panel Study of Korea Children)의 제7차 연도 조사 에 참여한 만 6세 유아 중, 조사일 현재 유치원에 재원 중인 것으로 나타난 유아의 담임교사 737 명이 응답한 교사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학부모의 유치원 교육에 대한 관심은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과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부모의 유치원 교 육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 은 결과는 학부모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유치원 교육의 질 제고에 무조건적이고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할 것이라는 일반적인 예상과는 달리 참여의 방식과 정도에 대한 추가적인 고민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는 학부모의 적극적인 교육적 관심과 참여는 교사의 전문적 자 율성을 기초로 하는 범위 내에서 실천될 때 교육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parents’ involvement in kindergarten education on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interest in and participation in kindergarten education, focusing on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data from 737 homeroom teachers of 6-year-old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7th annual survey of the Panel Study of Korea Childre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parents’ interest in kindergarten educ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On the other h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in the case of parents’ active participation. These results show that, contrary to the general expectation that parents’ active interest and participation will have an unconditional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quality of kindergarten education. Instead, they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method and extent of parental participation.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uggest that parents’ active educational interest and participation can exert educational effects when practiced within the framework of teachers’ professional autonom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놀잇감 공유에 대한 유아의 생각
- 현직 유치원 교사의 현장 사례 기반 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과 요구
- 유치원 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관심 및 참여의 교육적 효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 어머니의 부모신념과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배우자협력과 어머니-자녀관계의 매개효과
- MZ세대 남성의 자녀 양육 경험을 통한 정책 개선방안 탐색: 육아휴직 경험을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 지식(TPACK)과 테크놀로지 활용 간의 관계
-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 불만 접수 실태 및 불만 처리 과정에 대한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