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육학개론 이수 전과 후 예비초등교사의 특수교육과 통합교육 이론과 실제에 대한 자기효능감 변화

이용수 329

영문명
Analysis of changes in self-efficacy of pre-elementary school teacher in the context of inclusive education: Before and after completing the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남숙(Nam, Su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4호, 345~35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의 특수교육학개론 이수 전과 후 통합교육 맥락에서 특수교육과 통합교육 관련 이론과 실제에 대한 자기효능감 변화를 분석하여 현장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예비초등교사 커리큘럼 재구성의 제고 목적이다. 방법 G 교육대학교 4학년 51명 학생을 대상으로 특수교육학개론 이수 전과 후 특수교육과 통합교육 맥락에서 특수교육 및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예비초등교사의 장애영역별 사례에 대한 수업운영과 지원분야 인식, 특수교육과 통합교육의 이해, 장애와 비장애학생 통합수업의 이론과 실제, 장애학생 수용태도 및 인식, 그리고 장애학생 행동중재 이론과 실제에서 자기효능감 변화를 설문으로 진행한 후 SPSS 24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특수교육학개론 이수 후 통합교육 맥락에서 예비초등교사의 자기효능감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왔으며 특수교육학개론 이수 후 예비초등교사의 각 장애영역의 통합교육에 대한 성공기대 및 확신은 종합적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예비초등교사가 통합교육 맥락에서 선호하는 통합학급으로 사전과 사후검사 모두에서 다문화 및 의사소통장애로 나타났고 어려움을 많이 예상하는 통합학급으로 사전검사에서 정서⋅행동장애, 사후검사에서는 중도⋅중복장애로 나타났다. 선호 또는 어려움을 많이 예상하는 요인으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일상생활능력, 적절한 행동조절능력, 장애학생 경험 유무 등을 기술하였다. 셋째, 특수교육학개론 이수 후 예비초등교사의 특수교육과 통합교육 관련 이론과 실제에 대한 자기효능감 영역별 변화는 전체적으로 긍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장애와 비장애학생 통합수업 이론과 실제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인 반면 특수교육과 통합교육 이해, 장애아동 수용태도 및 인식, 장애학생 행동중재 이론과 실제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 예비초등교사의 자기효능감은 높으나 통합교육을 위한 적은 이수시간과 장애학생의 장애정도와 유형이 영향을 끼치고 있어 역량강화를 위해 다양한 강좌 개설 등 방안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the reconstruction of the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 curriculum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field inclusive education by analyzing the change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special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in the context of the inclusive education before an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introductory theor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thods The change in the self-efficacy of the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e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wa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inclusive education through the completion of the introduction of special education to 51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of G Education University and analyzed by SPSS 24.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introductory theory, the self-efficacy of the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context of inclusive education resulted in significant overall results and after completing the introduc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e expectation and confidence of success in inclusive education of each handicapped area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creased comprehensively. Second, the integrated classes preferred by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context of inclusive education showed multicultural and communication disabilities in both pre and post-examination, and the integrated classes expected to have many difficultie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abilities in the pre-examination and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the post-examination. It described the communication skills of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their daily life skills, appropriate behavioral control skills, and their experience as factors that were highly anticipated for preference or difficulty. Third, changes in the areas of special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related theories and practices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introductory theory were found to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overall, with significant positive results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integrated classes for disabled and non-disabled students, while special education and understanding of inclusive education, acceptance and awareness of disabled children, and behavioral interventions for disabled students were not significant in theory and practice. Conclusions Although the self-efficacy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hig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opening various courses to strengthen their capabilities as the small time required for inclusive education and the degree and type of disability of disabled students are greatly affec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숙(Nam, Suk). (2021).특수교육학개론 이수 전과 후 예비초등교사의 특수교육과 통합교육 이론과 실제에 대한 자기효능감 변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24), 345-357

MLA

남숙(Nam, Suk). "특수교육학개론 이수 전과 후 예비초등교사의 특수교육과 통합교육 이론과 실제에 대한 자기효능감 변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4(2021): 345-3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