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농업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효능감과 디지털 자립의 이중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Impact of Farmers’ Digital Literacy Competency on Life Satisfaction: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Digital Self-Efficacy and Digital Self-Relianc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현정(Hyun Jeong Choi) 이찬(Chan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4호, 895~90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농업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디지털 효능감과 디지털 자립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2023년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에서 조사한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의 농업인 1,781명을 선정하였다. SPSS 29.0과 PROCESS macro 4.2를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ROCESS macro의 Model 6을 사용해 디지털 효능감과 디지털 자립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농업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삶의 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디지털 효능감과 디지털 자립은 완전 이중매개효과를 보였다. 농업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높을수록 디지털 효능감이 증가하고, 이는 디지털 자립을 높이며 삶의 만족에 간접적으로 기여한다. 디지털 자립은 디지털 효능감보다 약한 영향을 보였으나, 유의미한 간접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농업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디지털 효능감 및 디지털 자립의 완전매개역할을 실증하였다. 디지털 농업의 변화 환경 속에서 농업인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하여 심리적 자신감과 기술적 자립도를 동시에 증진시키는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성공 경험과 실질적 기술 활용 사례를 통해 디지털 농업 환경에서 농업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방안이 강조된다. 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디지털 교육과 지속가능한 지원 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farmer’s digital literacy competency on life satisfaction and to explore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digital self-efficacy and digital self-reliance in this relationship. Methods The research subjects were 1,781 farmers selected from the 2023 Digital Divide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of Korea.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9.0 and PROCESS macro 4.2 (Model 6) was used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digital efficacy and digital self-reliance.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digital literacy competency did not directly affect life satisfaction; instead, its impact was fully mediated through digital self-efficacy and digital self-reliance. Higher levels of farmers' digital literacy competency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digital self-efficacy, which subsequently enhanced digital self-reliance, indirectly contributing to greater life satisfaction. Although the effect of digital self-reliance was weaker than that of digital self-efficacy, it was still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d the complete mediating roles of digital self-efficacy and digital self-reli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rmers’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nd life satisfaction. To strengthen farmers’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in the context of agricultural digital transformation, educational programs should focus on building both psychological confidence and technological independence. Highlighting successful experiences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digital tools can significantly improve farmers’ quality of life in a digital agriculture environment.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tailored digital educa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support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현정(Hyun Jeong Choi),이찬(Chan Lee). (2024).농업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효능감과 디지털 자립의 이중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4), 895-907

MLA

최현정(Hyun Jeong Choi),이찬(Chan Lee). "농업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효능감과 디지털 자립의 이중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4(2024): 895-9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