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담 전공자의 질적 연구 수행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7

영문명
An Autoethnography on the Experiences of Counseling Majors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손고은(Go-eun Son) 김명찬(Myeung-chan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4호, 33~5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에 있어 연구 수행 역량의 중요성이 확대됨에 따라 상담전공자의 연구 수행 경험을 탐색하고 이해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특히, 질적 연구 수행 경험에 초점을 맞추면서 상담전공자에게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사회문화적 맥락에서의 개인의 경험을 바라보고 해석하는 자문화기술지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고, 그에 따라 연구자의 일기자료, 성찰자료, 생각자료, 대화자료가 주로 사용되었다. 본 자료를 과학자-실무자 모델, 연구수행, 상담자 전문성 발달에 따른 이론과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질적연구자로서의 입문: 자문화기술지’, ‘질적연구를 통한 변화와 성장 과정’, ‘차별화된 상담 전문가로 향하는 길’로 도출되었다. 연구자는 자신의 경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질적연구를 처음 접하면서 자신의 변화를 경험하게 되고, 박사과정생으로서 자신을 증명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후 지속적으로 질적연구를 수행하면서 내적인 동기를 찾는 과정을 겪었다. 그리고 질적연구만이 가지는 불확실함에서 본질을 찾는 과정에서 자신의 성장을 느끼고, 이것이 자신의 삶과 전문가로서의 영역에도 확장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상담자의 발달 과정에 질적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였다. 이는 상담자 전문성 발달의 축인 과학자-실무자 모델의 연구 수행에 관한 근거자료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담자의 연구 수행 동기를 촉진할 수 있는 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research performance experiences of counseling majors as the importance of research performance capabilities expands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ounselors. In particular, we sought to in-depth explore what meaning it could have for counseling majors by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autoethnography research method of looking at and interpreting individual experiences in socio-cultural situations was applied, and the researcher's diary data, reflection data, thought data, and conversation data were mainly used accordingly. This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ory and prior research based on the scientist-practitioner model, research performance, and counselor professional development. Results As a result, ‘Introduction as a Qualitative Researcher: An Autoethnography Journal’, ‘Change and Growth Proces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d ‘Road to a Differentiated Counseling Expert’ were derived. The researcher experienced changes in herself as she encountered qualitative research for the first time, conducting research on her own experiences, and conducted research to prove herself as a doctoral student. Afterwards, I continued t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and went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internal motivation. And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essence in the uncertainty that only qualitative research has, I felt my own growth, and this extended to my life and professional field.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a discussion on the meaning of the process of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counselors. This can be provided as evidence for the research performance of the scientist-practitioner model, which is the axis of counsel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s expected to be a material that can promote counselors' motivation to conduct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고은(Go-eun Son),김명찬(Myeung-chan Kim). (2024).상담 전공자의 질적 연구 수행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4), 33-53

MLA

손고은(Go-eun Son),김명찬(Myeung-chan Kim). "상담 전공자의 질적 연구 수행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4(2024): 33-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