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I-PACE 모델에 기반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조절 시도 경험

이용수 0

영문명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Trying to Limit Smartphone Use Based on the I-PACE Mode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소연(So yeun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4호, 429~44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I-PACE 모델을 기반하여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 조절 시도 경험을 개인적 특성 및 정서와 행동 간의 상호작용 관점에서 깊이있게 탐색하고자 시도된 질적 서술적 연구이다. I-PACE 중독 모델의 통합적 측면을 근거로 장기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조절을 위하여 간호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에 기여하는 취약 요소를 파악하고 스마트폰 사용 시간 조절을 위한 포괄적인 개입 전략을 위한 중재 방안의 근거활용에 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 목적에 따라 2023년 6월부터 2023년 8월까지 스마트폰을 사용한 기간이 5년 이상이며 동시에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조절하고자 시도한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 15명을 의도적 표집 방법(purposive sampling)으로 선정하여 포커스 그룹 면담과 개인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내용분석 방법을 이용한 질적 서술적 연구이다. 결과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조절 시도 경험의 결과는 주제 3개, 하위주제 7개로 도출되었다. 첫째, ‘스마트폰 절제에 대한 새로운 인지 시작’ 범주는 ‘스마트폰 사용 전후의 감정’, ‘도피의 도구로써 활용’으로 도식화되었다. 둘째, ‘다양한 차원에서 스마트폰 절제 행위 증진’ 범주는 ‘환경설정’, ‘스마트폰 사용에 관한 비판적 평가 및 판단’으로 도식화되었다. 셋째, ‘자기통제와 책임의 연속적 중재’ 범주는 ‘안정된 생활 습관 형성’, ‘심리적 회복력과 적응력 향상’, ‘만족지연으로 찾아오는 자유’로 도식화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절제하는 시도 과정에서 자신의 스마트폰 의존을 인정하고, 절제 실패를 반복하며 비판적 사고를 형성하였다. 의지력만으로는 스마트폰을 절제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한 후 단지 스마트폰 사용 절제를 위한 시도를 넘어 생활습관 교정과 건설적인 스트레스 방법을 터득하는 것을 우선하였다. 이것은 즉각적인 보상을 미루고 충동을 의식적으로 조절하는 시작이 되었다. 결론 I-PACE 모델의 개인 정서적 측면에 근거하여 스마트폰 중독을 해결하기 위한 중재 방안으로 간호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고독, 우울과 같은 상태를 포함하여 간호 학생들의 정서를 세심하게 평가한다. I-PACE 모델의 인지·실행적 측면에 근거하여 간호대학생의 기대, 신념 등과 같은 인지적 소인을 면밀히 조사하여 스마트폰 의존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지적 요소를 파악한다. 스마트폰과 관련된 비이성적인 신념과 인지적 편견을 바로잡도록 인지 행동 중재를 개입하고 내면적 충동을 의식적으로 조절하는 전략을 개입하며 스스로 자신의 스마트폰 사용 패턴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역량을 확대한다. I-PACE 모델의 상호작용 통합적 측면에서 단기간의 환경설정이 아닌 장기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조절을 위하여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기여하는 개인의 취약 요소를 파악하고 일상 전반에서 심리적 회복력을 높이는 건설적인 스트레스 대처 방안 구축의 맞춤형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that attempted to deeply explore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f trying to control their smartphone usage time based on the I-PACE model from the perspective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emotions and behaviors. Based on the integrated aspects of the I-PACE addiction model,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vulnerable factors contributing to smartphone addiction in nursing students in order to control long-term smartphone usage time and to contribute to the utilization of evidence for intervention methods for comprehensive intervention strategies to control smartphone usage time. Methods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15 nursing students who have used smartphones for more than 5 years and have tried to control their smartphone usage time were select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from October to December 2023.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this is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using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trying to control their smartphone usage time were derived into three themes and seven subthemes. First, the category of ‘beginning of new awareness of smartphone moderation’ was diagrammed as ‘feelings before and after smartphone use’ and ‘use as a tool of escape’. Second, the category of ‘promoting smartphone moderation behavior in various dimensions’ was diagrammed as ‘environmental settings’ and ‘critical evaluation and judgment of smartphone use’. Third, the category of ‘continuous mediation of self-control and responsibility’ was diagrammed as ‘forming stable lifestyle habits’, ‘improving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adaptability’, and ‘freedom found through delayed gratification’. During the process of trying to control their smartphone usage time, the research participants acknowledged their smartphone dependency and formed critical thinking through repeated failures in moderation. After acknowledging that they could not control their smartphone usage with willpower alone, they prioritized correcting their lifestyle habits and learning constructive stress methods beyond simply trying to control their smartphone usage. This became the beginning of postponing immediate rewards and consciously controlling their impulses. Conclusions Based on the individual emotional aspect of the I-PACE model, as an intervention method to resolve smartphone addiction, the emotions of nursing students are carefully assessed, including states such as stress, loneliness, and depression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cognitive and practical aspects of the I-PACE model, cognitive factors such as expectations and beliefs of nursing students are closely examined to identify cognitive factors that may affect smartphone dependence. Cognitive behavioral intervention is provided to correct irrational beliefs and cognitive biases related to smartphones, strategies are provided to consciously control internal impulses, and the ability to monitor one's own smartphone usage patterns is expanded. In the interactive and integrated aspect of the I-PACE model, in order to control long-term smartphone usage time rather than short-term environmental setting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individual vulnerabilities that contribute to smartphone addiction in nursing students and to establish a constructive stress coping method that enhances psychological resilience in daily lif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연(So yeun Kim). (2024).I-PACE 모델에 기반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조절 시도 경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4), 429-442

MLA

김소연(So yeun Kim). "I-PACE 모델에 기반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조절 시도 경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4(2024): 429-4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