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용 유아 사회적 유능성 척도(SCS-KPC)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ocial Competence Scale for Korean Preschool Childre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채호(Chae Ho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4호, 657~667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 사회적 유능성 척도를 개발하는데 있어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영향을 반영한 교사용 사회적 유능성 척도를 개발 및 타당화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U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 중인 교사 17명을 대상으로 유아 사회적 유능성에 대한 암묵적 지식을 살펴보고, U시에 위치한 5곳에 재원 중인 유아 255명을 대상으로 15명의 담임교사들이 유아 사회적 유능성 척도 예비문항을 작성하여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Cronbach’s α) 분석을 실시하였고, 공인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Grasham & Elliot's(1990)의 유아 사회적 기술척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척도의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하위요인(사교성, 정서성, 협동성, 문제해결력)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문항은 20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유아 사회적 유능성(SCS-KPC)의 전체 신뢰도는 .92로 나타났으며, ‘사교성’ .86, ‘정서성’ .83, ‘협동성’ .81, ‘문제해결력’ .87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사회적 유능성 척도의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Grasham & Elliot(1990)의 사회적 기술 척도와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본 척도가 교사용 유아 사회적 유능성을 측정하는데 신뢰롭고 타당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for measuring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taking into account the specific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in Korea. Methods Implicit knowledge about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was examined among 17 kindergarten teachers in U City.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255 preschoolers across five locations in U City, with 15 homeroom teachers developing the preliminary items for the Social Competence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α)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Results The scale comprises four subfactors (sociability, emotionality, cooperativeness, problem-solving) with 20 items in total.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Social Competence Scale(SCS-KPC) was high(α=.92), with subscale reliabilities as follows: sociability(α=.86), emotionality(α=.83), cooperativeness(α=.81), and problem-solving(α= .87).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Grasham and Elliot's (1990) social skills scale affirmed its validity.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eveloped scale is reliable and valid for assessing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채호(Chae Ho Lee). (2024).교사용 유아 사회적 유능성 척도(SCS-KPC)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4), 657-667

MLA

이채호(Chae Ho Lee). "교사용 유아 사회적 유능성 척도(SCS-KPC)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4(2024): 657-6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