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R 프로그램을 이용한 허위 정보에 관한 교육 분야 국제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2

영문명
Analyzing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n Misinformation in Education Using R Programming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하상우(Sangwoo Ha)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4호, 123~14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허위 정보에 관한 교육 분야 국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에서 SCI, SSCI, AHCI급 우수 논문 514편을 추출하여, 이 논문들의 상세서지 정보에서 이들의 출처, 키워드, 핵심 연구물들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과 함께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데이터 수집, 데이터 정제, 데이터 분석, 문헌 연구의 4단계를 걸쳐 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 허위 정보와 관련한 교육 분야의 연구물들은 최근 들어 그 생산 편수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었으며, 교육 심리, 의학 교육 분야의 학술지에 게재된 편수가 많고, 교과 교육 분야의 학술지에 게재된 편수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허위 정보와 관련한 키워드는 Misinformation, Fake News, Disinformation 순으로, 이를 교육하기 위한 역량과 관련한 키워드는 Media Literacy, Digital Literacy 순으로 많이 등장하고 있었다. 이 분야의 핵심 연구물들로는 허위 정보 판별을 위한 구체적 전략, 허위 정보 판별 과정에서의 학생들의 특징, 허위 기억 효과의 기원,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의 확장, 과학 교과 교육적 관점에서의 용어 확장을 시도한 연구들이 있었다. 결론 우리나라에서도 국제 수준의 허위 정보 연구에 대한 관심과 함께 국제 협력 네트워크를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관점에서 허위 정보 대처에 대한 연구 관심과 함께, 여러 교과 교육 분야에서도 고유의 관점을 바탕으로 허위 정보와 관련한 연구를 더욱 활발히 수행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n misinformation in education using the R programming language. Methods Five hundred fourteen high-quality papers (SCI, SSCI, AHCI) were extracted from the Web of Science database. A big data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were conducted on these papers, focusing on their sources, keywords, and core research.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four stages: data collection, data cleaning, data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Results Research on misinformation in education has rapidly increased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related to educational psychology and medical education was high, while those published in journals related to subject education were relatively few. The keywords related to misinformation appeared in the order of Misinformation, Fake News, and Disinformation. Keywords related to competencies for addressing misinformation appeared in the order of Media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Core research in this field included studies on specific strategies for identifying misinformation,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identifying misinformation, origins of the false memory effect, expansion of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and attempts to extend terminology from a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 Conclusions In Korea, there is a need to diversify international cooperation networks and pay more attention to international-level research on misinformation. Additionally, conducting more active research on dealing with misinform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specific perspectives in various subject education fields, is necessar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상우(Sangwoo Ha). (2024).R 프로그램을 이용한 허위 정보에 관한 교육 분야 국제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4), 123-142

MLA

하상우(Sangwoo Ha). "R 프로그램을 이용한 허위 정보에 관한 교육 분야 국제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4(2024): 123-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