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기 학업 중단을 경험한 청년의 부모애착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사회적 낙인감과 자아탄력성의 이중매개효과

이용수 398

영문명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tigma and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Young Adults Who Experienced Academic Interruption in Adolescenc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도희(Kim, Do-Hee) 김더미(Kim, Deo-M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6호, 723~73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 학업을 중단했던 청년들이 지각하는 부모와의 애착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사회적 낙인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조사함으로써 학교 밖 청소년으로서 낙인을 경험한 청년들이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가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의 5차 년도 자료(2018)를 활용하였으며,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24세부터 29세 사이의 청년 315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통해 이중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부모애착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애착이 사회적 낙인감을 거쳐서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사회적 낙인감과 자아탄력성을 순차적으로 거쳐서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르게 말하면, 부모와의 애착이 부정적일수록 학업 중단에 따른 차별과 낙인을 높게 지각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유연하게 적응하는 능력을 감소시켜 최종적으로 삶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도록 기여함을 보여준다. 결론 부모와의 상호작용의 질을 개선하는 것은 개인의 내면화된 낙인과 오명을 개선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자아탄력성을 증진하는 작업이 사회적 낙인감에 의해 감소된 삶의 만족을 높이도록 기여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라고 여겨진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derived way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young adults who experienced stigma as out-of-school youth by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tigma and ego-resili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young adults who dropped out of school during adolescence. Methods To this end, data from the panel survey for drop-out adolescents of the fifth year (2018)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sed. A dual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315 young adults aged between 24 to 29 years old using the PROCESS Macro program. Results Analysis reveal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path in which parental attachment effects life satisfaction through social stigma and that in which it effects life satisfaction via social stigma and ego-resiliency in sequence were significant.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proving the quality of interactions with parents is useful in improving an individual's internalized stigma. It indicates that work that promotes ego-resilience contributes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reduced by social stigm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도희(Kim, Do-Hee),김더미(Kim, Deo-Mi) . (2022).청소년기 학업 중단을 경험한 청년의 부모애착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사회적 낙인감과 자아탄력성의 이중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6), 723-737

MLA

김도희(Kim, Do-Hee),김더미(Kim, Deo-Mi) . "청소년기 학업 중단을 경험한 청년의 부모애착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사회적 낙인감과 자아탄력성의 이중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6(2022): 723-7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