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수학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성별차이 분석

이용수 381

영문명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Remote Teaching Types on Mathematical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병삼(Jung, Byongsa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6호, 125~13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비대면 원격수업 동안 고등학생의 수학성취에 영향을 끼친 변수의 효과에서 유의미한 성별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0년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제공한 국가수준학업성취도 검사에서 고등학생 10,523명이 받은 수학점수를 분석했다. 자료분석을 위해서 다집단 구조방정식모형과 위계적 중다회귀모형을 적용했는데,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은 부모의 영향, 원격수업 형태, 수업활동을 외생잠재변인으로, 수학가치인식과 학습노력을 매개변인으로, 수학점수를 내생변인으로 했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은 부모영향, 원격수업, 수업활동 등에 관한 하위변수를 독립변수로하여 설명력의 증분을 검토했다. 또한 수학가치인식과 수학학습노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르래핑 방식을 적용했다. 결과 다집단 구조방정식모형분석 결과 부모와의 관계, 원격수업 유형, 교사의 수업활동이 고등학생의 수학가치인식과 수학학습노력에 주는 영향에는 유의미한 성차가 있었다. 둘째, 수학가치인식과 수학학습노력이 수학성적에 주는 영향에는 유의미한 성차가 있었다. 셋째, 수학가치인식과 수학학습노력이 외생변수와 수학점수 사이에 끼치는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성차가 있었다. 넷째, 원격수업 하위유형과 교사의 수업활동의 하위유형이 수학성적에 끼치는 영향에는 유의미한 성차가 있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팬데믹으로 인한 원격수업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수학성취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성차를 고려한 수업설계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the effect of variables that influenced high school students' math achievement during non-face-to-face remote class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For the purpose, I analyzed the math scores of 10,523 high school students in the national level academic achievement test provid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in 2020. For data analysis, a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model were appli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ed parental influence, remote class form, and class activity as exogenous potential variables, mathematical value recognition and learning effort as parameters, and mathematical scores as endogenous variable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iewed the increase in explanatory power by using sub-variables related to parental influence, remote classes, and class activities as in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a bootstrapping method was appl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athematical value recognition and mathematical learning effor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 type of distance class, and the influence of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on high school students' math value recognition and math learning effort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the effect of mathematical value recognition and mathematical learning efforts on mathematical grade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the mediating effect of mathematical value recognition and mathematical learning efforts between exogenous variables and mathematical scores.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the effect of the subtype of remote class and the subtype of teacher's class activities on mathematical grades.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in order to improve high school students' math achievement in remote class situations due to the pandemic, a class design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s is necessar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병삼(Jung, Byongsam) . (2022).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수학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성별차이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6), 125-138

MLA

정병삼(Jung, Byongsam)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수학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성별차이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6(2022): 125-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