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19 시기 영유아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와 외벌이 부모의 가족 건강성과 삶의 만족도 관계 비교

이용수 466

영문명
A comparis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between dual-income parents with infants and children and single-income parents during the COVID-19 period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유지은(Jieun Yoo) 김현수(Hyunsu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6호, 21~3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영유아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와 외벌이 부모의 가족 건강성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295명의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들을 대상으로 가족 건강성 및 삶의 만족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맞벌이와 외벌이 부모에 따른 집단 간 평균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고, 삶의 만족도에 대한 가족 건강성의 하위 변인 간의 영향력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첫째, 영유아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와 외벌이 부모 간 가족 건강성 및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맞벌이와 외벌이 부모 모두 가족 건강성의 하위 변인인 가족 탄력성, 상호존중과 수용, 질적 유대감과 삶의 만족도는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맞벌이 부모의 경우, 가족 건강성의 하위 요인 중 상호존중과 수용 및 질적 유대감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벌이 부모의 경우 가족 탄력성만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시기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들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f dual-income parents and single-income parents with young children during the COVID-19 period. Methods To this end, data on family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were collected for parents with 295 infants and children,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dual-income and single-income par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sub-variables of family health on life satisfaction. Result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between double-income parents and single-income parents with young children. Second, it was found that both double-income and single-income parents had a positive correlation at a significant level with family resilience, mutual respect and acceptance, qualitative bonds, and life satisfaction, which are sub-variables of family health.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family health in dual-income parents, mutual respect, acceptance, and qualitative bond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in the case of single-income parents, only family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plan was proposed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parents with infants and toddlers during the COVID-19 perio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지은(Jieun Yoo),김현수(Hyunsu Kim) . (2022).코로나19 시기 영유아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와 외벌이 부모의 가족 건강성과 삶의 만족도 관계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6), 21-33

MLA

유지은(Jieun Yoo),김현수(Hyunsu Kim) . "코로나19 시기 영유아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와 외벌이 부모의 가족 건강성과 삶의 만족도 관계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6(2022): 2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