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고학년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발표불안의 관계

이용수 381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peech Anxiety in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나담(Kim, Na-dam) 안태용(Ahn, Taey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6호, 103~112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발표불안의 관계를 탐색하고, 내면화된 수치심과 발표불안 간의 관계를 자기격려가 매개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P시에 소재한 초등학교의 5, 6학년 학생 294명을 대상으로 발표불안척도(임만택, 1994), 내면화된 수치심척도(Internalized Shame Scale: ISS)(Cook, 1987), 자기격려척도(김애진, 오익수, 2010)를 실시하였으며,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경로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주요 변인들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면화된 수치심과 발표불안 사이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격려 사이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자기격려 역시 발표불안과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격려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내면화된 수치심이 클수록 자기격려 수준이 낮아지지만, 자기격려 수준이 높을 경우 발표불안 수준이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발표불안에 대한 내면화된 수치심의 영향이 여전히 크지만 자기격려 기술의 증진을 통한 발표불안 완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peech anxiety in senior elementary school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findings related to speech anxiety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reducing speech anxiety. Method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294 students in grades 5 and 6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P city. The subjects performed the Speech Anxiety Scale(Lim, 1994) and, Internalized Shame Scale(ISS)(Cook, 1987), Self-encouragement Scale(Kim & Oh,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as analyzed through the path analysis model.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peech anxiety was shown, and a significant inadequate correla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elf-encouragement was shown. Self-encouragement was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speech anxiety. Second,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encouragement on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speech anxiety.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internalized shame, the lower the level of self-encouragement, but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ncouragement, the lower the level of speech anxiety. Conclusions Although internalized shame on speech anxiety is still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ways to alleviate speech anxiety through the promotion of self-encouragement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나담(Kim, Na-dam),안태용(Ahn, Taeyong) . (2022).초등학교 고학년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발표불안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6), 103-112

MLA

김나담(Kim, Na-dam),안태용(Ahn, Taeyong) . "초등학교 고학년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발표불안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6(2022): 103-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