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기술교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54
- 영문명
- Exploring the Impact of a Generative AI Program on Digital Citizenship in Middle School Technology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금지혜 최유현 임윤진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24권 제1호, 23~4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교과의 정보통신기술 영역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학습 프로그램을개발하고, 이 학습 경험이 중학생의 디지털 시민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중학교 기술 교과의 정보통신기술 영역인 ‘통신기술과 소통’단원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A 중학교에 적용하였으며, 중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함양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활용하였다. 양적분석으로는 단일집단에 초․중학생용 디지털시민성 척도를 검사 도구로 선정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t-검증 방법을 활용하여 효과를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 개발한 기술교과의 생성형 AI를 활용한 정보통신기술 학습은 중학생의디지털 시민성 함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가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의 하위 요인은디지털 보안, 공감, 디지털 사회 정체감, 비판적 사고영역이었다. 또한, 학생들의 학습결과물과 만족도 및 의견 분석을 통하여 개발한 프로그램 효과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위하여 기술교과의 정보통신기술 영역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학습은 교육적 가치가 있으며, 성취기준을 달성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에서 활용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기술교과교수학습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디지털 시민성을 함양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중학생의 디지털 시민성을 함양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과의 연구가 이어지길 바라며, 이 연구가 기술 교과에서 디지털 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한 연구의 참고자료로 활용되길바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earning program using generative AI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rea of middle school technology subjects an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is learning experi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 Digital Citizenship. we developed a learning program using generative AI in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section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rea of middle school technology subjects, and applied it to A middle school to determine whether it was effective in cultivating Digital Citizenship in middle school student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used, and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on a single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learning using generative AI in the developed technology curriculu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cultivating Digital Citizenship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factors of Digital Citizenship that showed effectiveness were digital security, empathy, digital social identity, and critical thinking. In addition, the effects and implications of the developed program were derived through analysis of students' learning outcomes, satisfaction, and opinions. In order to cultivate Digital Citizenship, learning using generative AI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rea of technical subjects was confirmed to have educational value and to be suitable for achieving achievement standards. It is expected that the technology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used in this study can be meaningfully used as a program to cultivate Digital Citizenship in middle school students. together. We hope that research will continue in various subjects to cultivate Digital Citizenship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reference for research on cultivating Digital Citizenship in technology subjects.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 기반 실과 교과서의 발명교육 단원에 반영된 메이커 역량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기술교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 2022 개정 기술과 교육과정 개발과 주요 특징
- AI를 활용한 중학교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분석: Chat GPT를 중심으로
- 중학교 기술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학습과정 시각화 중심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개발
- 중등 교과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메타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과 ‘구조물과 건설’ 핵심개념에서 빛 환경 설계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건설기술 체험활동 과제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대체가능성 논변과 쾌락의 개별성 문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