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과 ‘구조물과 건설’ 핵심개념에서 빛 환경 설계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건설기술 체험활동 과제 개발
이용수 135
- 영문명
- Development of sustainable construction technology Hands-on activities using light environment design for ‘Structures and Construction’core concept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광호 유현석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24권 제1호, 77~10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과 ‘구조물과 건설’ 핵심개념에서 빛 환경설계를 활용한 건설기술 체험활동 과제를 개발함으로써 중학생들에게 지속가능한 건설기술의 개념과 실천방향을 이해시키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다섯 단계에 따라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2022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선행연구 및 교과서 등을 분석하여 총 8차시 분량의 수업과정안, 교사용 수업자료(PPT), 학생용 학습자료(포트폴리오), 분석적 채점기준표를 개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체험활동 과제는 인공조명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자연채광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빛 환경 설계를 적용하여 채광 장치 중 광선반과 천창을 포함한 모형을 설계, 제작, 평가하도록 하였다. 셋째, 본연구에서 개발한 체험활동 과제에 대하여 전문가 타당성 검토를 실시한 결과, 수준, 시간, 목표, 흥미, 문제 상황 등 모든 항목에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술형 응답결과를 분석하여 체험활동과제를 수정․보완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체험활동 과제에 대한 수업 적용 결과, 학생들은 체험활동 주제에 대해 대체로 흥미를 가졌고, 빛 환경 설계가 지속가능한 발전의 실천방안이 될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반응이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 and practical use of sustainable construction technology by developing hands-on activities using light environment design for‘Structures and Construction’core concept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 this study, research was conducted in five stage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he main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2022 revised curriculum, previous research, and curriculum, a class curriculum plan for the 8th session, teaching materials for teachers, learning materials for students, and grading rubrics were developed. Second, the hands-on activity applied a light environment design that minimizes the use of artificial lighting and efficiently utilizes natural light, and designed, produced, and evaluated architectural models including light shelves and skylights. Third, as a result of an expert feasibility review, all items including level, time, goal, interest, and problem situation were valid. Fourth, as a result of applying the hands-on activities in class, students were interested in the topic and there was a positive response in that light environment design can be a practical metho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 기반 실과 교과서의 발명교육 단원에 반영된 메이커 역량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기술교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 2022 개정 기술과 교육과정 개발과 주요 특징
- AI를 활용한 중학교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분석: Chat GPT를 중심으로
- 중학교 기술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학습과정 시각화 중심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개발
- 중등 교과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메타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과 ‘구조물과 건설’ 핵심개념에서 빛 환경 설계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건설기술 체험활동 과제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대체가능성 논변과 쾌락의 개별성 문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