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the Metaphor-using Self-Reflection Program (M-SRP)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High School Students at Risk of Dropping Out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저자명
- 정은실 송재홍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연구』제27권 제1호, 63~97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etaphor-using Self-Reflection Program: M-SRP)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와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M-SRP를 구안하고, 비동등 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을 구안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자아성찰의 영역을 자기와 관계의 두 가지로 지정하고 자아성찰의 단계를 인식-이해-실천의 3단계로 설정하였다. 또한 학교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과 요구분석 등을 토대로 M-SRP 구성을 위한 원리와 목표를 개발하고 구체적인 내용 요소를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 19명(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9명)으로, 실험집단에 M-SRP를 10회기 동안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M-SRP는 자아성찰 능력 향상, 학업중단의도 감소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 효과는 실험 종료 후에도 지속되었다. 질적 분석에서는 프로그램 종료 후 참여자들이 긍정적 자아 개념 형성과 대인관계에서의 긍정적 변화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M-SRP가 학업중단 위기 학생의 자아성찰을 향상시키고 학업중단의도 감소에 효과적이며 학업중단 예방에 기여하는 실천적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교육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etaphor-using Self-Reflection Program (M-SRP) for preventing dropout among high school students at risk of dropping out. M-SRP was designed based on prior research and needs analysis, and its effectiveness was evaluat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M-SRP was developed by defining two domains of self-reflection (self and relationships) and structuring the process into three stages (awareness, understanding, and practice).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9 high school students at risk of dropping out (1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9 in the control group), with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10 sessions of M-SRP. Results showed that M-SRP significantly improved self-reflection ability and reduced dropout intention, with effects sustained after program completion. Qualitative analysis revealed that participants experienced positive self-concept formation and improv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SRP is an effective and practical program for enhancing self-reflection and reducing dropout intention, thereby contributing to dropout prevention. Finally, the study discusses its limitations and the applicability of M-SRP in educational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