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Enhancing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onfidence through Media-Based English Speaking Portfolios in University Liberal Arts English Classes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저자명
- 이희정 김시현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연구』제27권 제1호, 43~6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교양 영어 회화 수업에서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J 대학교 2024년 1학기 교양 영어회화 II 수업의 세 개 분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15주 동안 미디어 기반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을 실시하고, 사전·사후 설문조사 및 중간·기말고사 영상 데이터 분석을 통해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학기 초에는 다수의 학생이 2단어 이상 연결하여 말하기를 어려워했으나 학기 말에는 응답자의 약 74%가 단어 수준에서 문장 단위로 발전했다고 보고하였다. 영상 데이터 비교에서도 발화 유창성의 증가, 표현의 다양성 확대, 암기 의존도 감소, 특히 비언어적 자신감의 향상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특징적으로는, 유튜브 쇼츠나 인스타그램 릴스와 같은 숏폼 콘텐츠를 선호한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미디어 학습을 지속하면서 더욱 뚜렷한 발전을 보였다. 본 연구는 미디어 기반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영어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 향상에 효과적임을 입증하고 맞춤형 미디어 자료 제공, 체계적인 포트폴리오 활동과 피드백 강화, 혼합형 학습 접근법의 활용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a model for enhancing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onfidence through media-based English speaking portfolios in university-level liberal arts English classes. Participants included three sections of an English Conversation II course offered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4. Media-based speaking portfolio activities were implemented, and their effectiveness was assessed through surveys as well as midterm and final exam video analyses. Findings indicated that most students, who initially reported difficulty speaking beyond the word level, progressed to producing sentence-level utterances. Comparisons of midterm and final exam videos further revealed noteworthy improvements in fluency, diversity of expressions, and nonverbal indicators of confidence. Of particular interest, students who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tended to prefer short-form media content (e.g., YouTube Shorts, Instagram Reels). These results underscore the potential of media-based English speaking activities to bolster student motivation, engagement, and spoken proficiency while simultaneously fostering greater self-confidence. Based on these outcomes, the study recommends integrating customized, media-supported instructional materials with student-led portfolio scripting to further promote communicative competence in university learn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