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 기반 실과 교과서의 발명교육 단원에 반영된 메이커 역량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Maker Competencies in Invention Education Units of Practical Arts Textbook under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in South Korea
발행기관
한국기술교육학회
저자명
윤주혁
간행물 정보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24권 제1호, 49~7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된 실과 교과서 발명교육 단원에 반영된메이커 역량을 분석하여 실과 발명교육을 통한 메이커 역량의 함양 가능성을 알아보고, 발명교육 단원에서 메이커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 개정실과 교육과정의 발명과 문제해결 관련 성취기준별로 6학년 실과교과서 발명교육 단원에 반영된 6개메이커 역량군과 23개의 하위 핵심역량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에 기반한 실과교과서 발명교육 단원에는 문제 발견, 통합적 사고, 메이킹 수행 역량군이 각각 100%, 75.0%, 69.0%의 반영 비율로 가장 많이 반영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메이킹 마인드 역량군이 29.2%의 비율로 많이 반영되었다. 협업, 인간 중심 역량군은 각각 8.3%, 4.2%로가장 적게 반영된 역량군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발명의 의미와 중요성 및 발명기법을 이해하는 이론학습의 [6실05-03] 성취기준 단원보다 기술적 문제해결 절차에 따른 실기 학습의 [6실05-04] 성취기준단원에서 통합적 사고 역량군이 더 많이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실05-04] 성취기준 단원에서전기 및 프로그래밍의 이해 역량을 제외한 모든 메이킹 수행 역량군이 대부분 반영되어 있었다. 특히문제발견 역량군은 모든 성취기준의 단원에서 모두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기반한 실과교과서 발명교육 단원의 학습을 통해 통합적 사고, 메이킹 마인드, 문제 발견, 메이킹 수행 역량군이 상대적으로 많이 함양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반영 비율이 매우 저조했거나 반영이 전혀 되지 않았던 메이커 역량군과 하위 핵심역량들도 이 연구에서 제안한 함양 방안을추가 및 보완한다면 실과 발명교육을 통해서 더 많은 메이커 역량이 함양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 연구의 결과는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기반한 발명교육 단원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 메이커 역량의 효과적인 반영을 촉진하여 학생들의 메이커 역량 함양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aker competencies reflected in the invention and problem solving units of the practical arts textbook developed based o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cultivating maker competencies through invention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to identify maker competencies in the invention and problem solving units. To achieve this purpose, 6 maker competency groups and 23 core competencies reflected in the invention education units of the 6th grade practical arts textbook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invention and problem solving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oblem finding, integrated thinking, and making practice competency groups were most reflected with reflection rates of 100%, 75.0%, and 69.0% in the practical textbook invention education units based o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respectively. And the making mind competency group was reflected the most at a rate of 29.2%. Collaboration and human-centered competency groups were identified as the least reflected competency groups at 8.3% and 4.2%, respectively. Second, compared to the [5,6 grade group - practical arts - 5th area - 3th achievement standard] unit, which is a theoretical study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invention and invention techniques, [5,6 grade group - practical arts - 5th area - 4th achievement standard] is a practical learning unit based on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procedures. It was found that the integrated thinking competency group was reflected more. In addition, the [5,6 grade group - practical arts - 5th area - 4th achievement standard] unit mostly reflected all making practice competency groups except for understanding competency in electricity and programming. In particular, the problem finding competency group was found to be reflected in all units of the achievement standard. Third, it was found that integrated thinking, making mind, problem discovery, and making practice competency groups could be developed relatively more through learning in the invention education unit of the practical arts textbook based o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if the maker competency group and core competencies that had a very low reflection rate or were not reflected at all are added and supplemented with the cultivation plan proposed in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more maker competencies can be developed through inven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cultivating students' maker competencies by promoting effective reflection of maker competencies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stages of invention education units based on the 2022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주혁. (2024).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 기반 실과 교과서의 발명교육 단원에 반영된 메이커 역량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24 (1), 49-76

MLA

윤주혁.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 기반 실과 교과서의 발명교육 단원에 반영된 메이커 역량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24.1(2024): 49-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