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등 교과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메타분석
이용수 208
- 영문명
- Meta-analysis 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s in secondary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오한길 허혜연 김기수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24권 제1호, 153~17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교과 수업에서 수행된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관련 여러 선행연구들의결과를 종합하여 그 효과성을 분석함으로써 기술 교과에서의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등 교과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변인(프로그램형태, 측정변인, 연속변인)에 따른 교육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인공지능교육의 효과는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둘째, 교육 도구와 활동 유형에 따라 교육프로그램 효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인지적 영역에서는 리터러시와 관련된 변인, 정의적 영역의 자아와 관련된 변인에서 큰 효과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기술교육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중등 교과에서 인공지능교육은 교육 도구와 활동 유형에따라 그 효과가 달라지므로 교육프로그램 설계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므로 인공지능교육을 기술교과의 관점을 반영하여 이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할 필요가 있으며, 기술 교과 중심의 융합을 위한 내용 체계나 수업 설계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application in technology subjects by synthesizing the results of several previous studie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in secondary school subject classes and analyzing their effectiveness. To this end, the effect size of the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variables (program form, measurement variable, continuous variable) was analyz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in secondary school subjects. The conclusions drawn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secondary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showed a moderate effect siz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tool and activity type. Third, a large effect was observed in the variable related to literacy in the cognitive domain and the variable related to the ego in the affective domain.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echnical education. Sinc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varies depending on educational tools and types of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educational program suitabl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by reflecting the perspective of the technology subject, a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content system or instructional design plan for convergence centered on technology subjects.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 기반 실과 교과서의 발명교육 단원에 반영된 메이커 역량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기술교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 2022 개정 기술과 교육과정 개발과 주요 특징
- AI를 활용한 중학교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분석: Chat GPT를 중심으로
- 중학교 기술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학습과정 시각화 중심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개발
- 중등 교과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메타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과 ‘구조물과 건설’ 핵심개념에서 빛 환경 설계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건설기술 체험활동 과제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대체가능성 논변과 쾌락의 개별성 문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