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혼 취업여성의 부부친밀감과 성평등의식이 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86

영문명
Marital Intimacy and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among Married Working Women Effect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태숙(Tae-Sook,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6호, 487~50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기혼 취업여성의 부부친밀감과 성평등의식이 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으며, 이들 영향 관계에서 일⋅가정 갈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방법은 여성가족패널조사 2018(여성 9,602명)에서 기혼취업 여성 2,083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양적 횡단조사방법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일⋅가정 갈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의 3단계 분석방법을 선택하였다. 결과 이를 통한 본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취업여성의 부부친밀감은 일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둘째, 기혼 취업여성의 성평등의식은 일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한 부부친밀감은 일⋅가정 갈등을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p<.01). 셋째, 부부친밀감이 일⋅가정 갈등을 완화시키고 완화된 일⋅가정 갈등은 직장에서의 일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p<.001), 또한 성평등의식은 일⋅가정 갈등을 완화시키고 완화된 일⋅가정 갈등은 일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p<.001). 결론 이를 바탕으로 기혼 취업여성의 일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부부친밀감, 성평등의식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인프라 구축 등 사회복지실천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일⋅가정 갈등을 낮출 수 있는 가족친화적인 제도를 정부와 지자체, 지역사회가 연계⋅확대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혼 취업여성의 일 만족도 향상을 위한 함의와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rital intimacy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n job satisfaction among married working women, and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in these influence relationships. Methods As for the research method, a quantitative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by selecting 2,083 married and working women as the study subjects in the Women and Family Panel Survey 2018 (9,602 women). For data analysis, SPSS 25 program was used.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the three-step analysis method of Baron & Kenny (1986) was selected. Results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married working women's marital intimacy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 effect on job satisfaction (p<.01). Second,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married working women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p<.05). In addition, marital intimac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work-family conflict,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p<.01). Third, marital intimacy alleviated work-family conflict, and alleviated work-family conflict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work satisfaction at work (p<.001), and gender equality awareness also reduced work-family conflict. It was confirmed that work-family conflict that was alleviated and alleviated increased work satisfaction (p<.001). Conclusions Based on this, in order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married working women, it will be necessary to intervene in social welfare practices, such as developing programs and building infrastructure to increase marital intimacy and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In addition,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local communities should connect and expand a family-friendly system that can reduce work-family conflic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the implications and basic data for improving job satisfaction among married working wom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태숙(Tae-Sook, Kim) . (2022).기혼 취업여성의 부부친밀감과 성평등의식이 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6), 487-504

MLA

김태숙(Tae-Sook, Kim) . "기혼 취업여성의 부부친밀감과 성평등의식이 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6(2022): 487-5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