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의 인식 및 요구 분석에 따른 대학교육의 방향성 정립

이용수 477

영문명
A Study on the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according to Students' Perceptions and Needs Analysis of Extracurricular Curriculu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차혜경(Cha Hyeky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6호, 251~27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여 대학의 비교과 교육에 대한 방향성을 수립하고 프로그램의 개선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S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요구조사 문항을 개발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설문에 응답한 재학생의 자료를 활용하여 각 문항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과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ANOVA, t-검증, 교차분석을 하였다. 결과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비교과 참여현황은 1~2학년, 과학기술융합대학과 디자인예술대학의 학생 참여가 낮았으며, 남학생 보다 여학생의 참여가 더 높았다. 학생들은 홈페이지 공지를 활용한 홍보와 마일리지 장학금 및 상금 수여 등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둘째, 비교과 운영방법에는 ‘비교과 마일리지’를 높게 인식하고, 온라인 비교과에 대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온라인 환경’과 ‘PC/스마트기기의 인터넷 활용’을 장점으로, ‘집중력 저하’와 ‘교수자 및 학생 간 상호작용의 어려움’을 단점으로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비교과 학습성과에는 만족한 프로그램의 요인으로 ‘강사의 전문성’과 ‘프로그램의 주제 만족’이 높았으며, 프로그램 참여성과로 ‘교과 외 다양한 경험’과 ‘대학생활을 이해하고 적응에 도움’을 높게 인식하였다. 넷째,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는 핵심역량인증제 도입, 마일리지 및 장학금 등을 강화하는 학교정책 지원이 높았다. 또한 교과연계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요구가 높았으며,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자격증 지원 및 컴퓨터활용 프로그램이 우선적으로 개설되기를 희망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과정 및 산출 측면을 기반으로 재학생의 인식과 요구사항을 통계분석하고 성별, 학년 및 단과대학별 차이를 확인하여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대학 구성원의 비교과 교육에 대한 인식 개선과 운영체계를 정립하는 방향성 수립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direction for the university's extracurricular education and to support program improvement by examining students' perceptions and needs for the extracurricular curriculum. Method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y developing a questionnaire on the perception and needs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for S University students. As for the analysis method, ANOVA, t-test, and cross-analysis were performed to check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it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for each question using the data of current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Result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as for the participation status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the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the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and the College of Design and Arts was low, and the participation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In addition, students had high demands for publicity using website announcements and awarding mileage scholarships and prize money. Second, the ‘extracurricular mileage’ was highly recognized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and the online extracurricular program took advantage of the ‘online environment regardless of location’ and ‘internet use of PC/smart devices’ as the strengths, ‘decreased concentration’ and ‘Difficulty in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was recognized as a disadvantage. Third, satisfaction with ‘instructor's professionalism’ and ‘program theme’ was high in the learning outcomes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and ‘various experiences outside of the subject’ and ‘help in understanding and adapting to university life’ were highly recognized as the program participation outcomes. Fourth, students' demands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were highly supported by school policy that reinforced core competency certification system, mileage and scholarships. In addition, there was a high demand for application for the subject-related extracurricular program, and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was the most important, and it was hoped that the certificate application and computer application program would be opened first.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implications by statistically analyzing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current students based on the process and output aspects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and identifying differences by gender, grade, and college.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members on extracurricular education and to establish a direction for establishing an operating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혜경(Cha Hyekyung) . (2022).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의 인식 및 요구 분석에 따른 대학교육의 방향성 정립.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6), 251-277

MLA

차혜경(Cha Hyekyung) .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의 인식 및 요구 분석에 따른 대학교육의 방향성 정립."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6(2022): 251-2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