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놀이치료자의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놀이평가교육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이용수 348

영문명
A qualitative case study of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problem based learning(PBL)-based play evaluation practice training for preparatory play therapis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오지현(Oh ji hyun) 박지선(Park ji seon) 김지윤(Kim ji yo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6호, 361~38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예비놀이치료자들을 대상으로 PBL 기반 놀이평가교육을 실행함으로써 현장실습 전 훈련방법으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놀이치료 수련 과정에서 갖는 의미를 발견하여 예비놀이치료자의 훈련 방향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아동상담 및 놀이치료전공 석사과정 1학기생을 모집하였고, 총 3명이 참여하였다. PBL기반 놀이평가교육은 4개월동안 총 12차시를 실행하였고 모든 교육을 녹화하였으며, 교육 전과 후에 2회의 초점집단면담과 개별면담을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는 Creswell(2013)이 제안한 다중사례연구 분석의 틀을 따라 사례 내 분석과 사례간 분석을 수행했다. 결과 분석결과, 예비놀이치료자들이 PBL 기반 놀이평가교육을 통해 경험을 반영하는 5개의 사례 내 주제가 도출되었고, 사례 간 분석에서는 4개의 핵심범주와 9개의 하위범주, 38개의 의미단위가 확인되었다. 사례 간 분석의 핵심범주는 ‘경로이탈’, ‘러닝코칭자 vs 가르치려는자’, ‘1+1=3 vs 1+1=0’, ‘체험! 놀이치료 현장’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해석한 논의는 첫째, PBL기반 놀이평가교육에 참여한 예비놀이치료자들은 정답이 없는 질문의 과정을 통해 길을 잃었고 계속 헤매었다. 둘째, 교수자가 어떤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놀이평가교육에 참여한 예비놀이치료자들의 학습경험에 차이가 생겼다. 셋째, 놀이평가교육에 참여한 예비놀이치료자들의 팀 학습 경험에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PBL기반 교육은 참여자들이 놀이평가 해석과 사례개념화를 미리 연습해 봄으로써 예비 놀이치료사로서 전문성을 키워나가고자 하는 동기가 생겼다. 결론 본 연구는 예비놀이치료자들을 대상으로 현장실습 전 훈련방법으로써 PBL을 적용한 놀이평가교육을 실행하고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혼란과 갈등, 변화과정을 상세히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반성적 실천관점에서 교수자 및 놀이치료 수퍼바이저의 교육전문성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its potential as the training method by implementing PBL-based play evaluation practice training for preparatory play therapists, and to discover the significance of the play therapy training proces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training direction of preparatory therapists. Methods In this study, three first-year students participated, a master's program in child counseling and play therapy. A PBL-based play evaluation practice training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2 sessions, all training was recorded, and two focus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in and between cases according to the framework of multi-case study analysis proposed by Creswell(2013). Results 5 in-case topics reflecting their experiences were derived through PBL-based play evaluation practice training by prospective play therapists, and 4 topics, 9 categories, and 38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in the case-to-case analysis.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lost and continued to wander through a process of questioning that had no correct answers. Second, the role of the professor differed in the learning experienc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eam learning experienc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Fourth, the PBL-based training allowed participants to practice play evaluation interpretation and case conceptualization before beginning their play therapy practice and supervision practice.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ducted play evaluation training using PBL as a pre-practice training method for preparatory play therapists and explored in detail the confusion, conflict, and change processes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from a reflective practice perspective, we affirmed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al expertise of professor and play therapy superviso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지현(Oh ji hyun),박지선(Park ji seon),김지윤(Kim ji youn) . (2022).예비놀이치료자의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놀이평가교육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6), 361-383

MLA

오지현(Oh ji hyun),박지선(Park ji seon),김지윤(Kim ji youn) . "예비놀이치료자의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놀이평가교육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6(2022): 361-3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