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실습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396

영문명
Qualitative meta-analysis on the practice exper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정애(Lee, Jeong A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6호, 739~75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실습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실습경험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향후 실습의 방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Noblit과 Hare(1988)의 질적 메타분석 실행과정을 바탕으로 한 질적 메타분석 방법을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실습경험을 분석하였다. 질적 메타분석은 크게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뉘어 전반부에서는 연구물을 수합하여 분석대상이 되는 연구물을 선정하였으며 후반부에서는 선정된 연구물을 비교⋅분석하고 도출한 결과를 범주화한 뒤 그 의미를 탐색하였다.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실습경험을 종합적으로 탐구해본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인식의 변화, 교육의 실제, 관계의 향유’를 중심으로 실습과정을 경험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실습과정에서 유아에 대한 인식의 변화, 주변인에서 주체자로서의 자신 인식하기, 실천적 지식 함양, 소진의 경험, 반성석 사고하기, 신뢰와 지지를 기반으로 한 교사와의 상호작용, 정서적 향유를 통한 유아와의 긍정적 관계 형성을 경험하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양질의 예비유아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습의 방향을 살펴보면 유아와 예비유아교사의 능동적 참여 강조, 이론과 지식이 융합된 실천적 지식의 함양, 실습의 명암(明暗)을 잘 조율할 수 있는 반성적 사고 증진, 정서적 지지를 바탕으로 한 교사 및 유아와의 긍정적 관계 형성을 고려해볼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we intend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e practice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the practice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investigate the future direction of practice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practice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qualitative meta-analysis based on the qualitative meta-analysis execution process of Noblit and Hare (1988). Qualitative meta-analysis is largely divided into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In the first half, research materials were collected and analysis subjects were selected, and in the second half, the results obtain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elected research materials were categorized. Results As a result of comprehensively exploring the practice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xperienced the practice process centered on ‘change in perception, practice of education, and enjoyment of relationships’. During the practice proces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xperienced changes in their perception of young children, recognition of themselves as subjects in their surroundings, experience of practical knowledge, experience exhaustion, reflective thinking, interacting with teachers based on trust and support, and formi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children through emotional enjoymen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consider emphasizing the active participation of young children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cultivating practical knowledge that combines theory and knowledge, promoting reflective thinking to coordinate the light and shade of practice, and forming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young children based on emotional suppor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애(Lee, Jeong Ae) . (2022).예비유아교사의 실습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6), 739-750

MLA

이정애(Lee, Jeong Ae) . "예비유아교사의 실습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6(2022): 739-7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