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위기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심리상태 간의 관계: 부산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47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arenting Attitudes and Psychological States Perceived by At-risk Adolescents: Focusing on the Case of Busan
발행기관
한국학부모학회
저자명
주동범 이현철 이원석
간행물 정보
『학부모연구』제11권 제2호, 61~7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위기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정서조절, 우울, 불안, 삶의 만족 등의 내면적 심리상태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의 위기청소년 283명(여자 165명, 남자 117명)을 대상으로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기청소년들은 전반적으로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인 반면, 정서조절에 대한 인식은 다소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우울과 불안에 대한 인식은 낮은 편이나, 삶의 만족도는 보통보다 조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 중 따스함과 자율성지지는 위기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정서조절, 삶의 만족도와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과 불안과는 부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 중 거부와 강요는 위기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정서조절, 삶의 만족도와 부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과 불안과는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 중 따스함은 위기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태도 중 강요도 위기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양육태도 중 거부는 위기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불안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의 양육태도는 위기청소년의 정서조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학부모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arenting attitudes and internal psychological states such as self-esteem, self-efficacy, emotional regulation, depression,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at-risk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283 at-risk adolescents(165 females and 117 mal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t-risk adolescent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perception of their parents' parenting attitudes overall, and their perceptions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were positive, while their perceptions of emotional regulation were somewhat negative.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depression and anxiety was low, but life satisfaction was slightly higher than normal. Second, among parents' parenting attitudes, warmth and autonomy support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esteem, self-efficacy, emotional regul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at-risk adolescents, and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and anxiety. In addition, rejection and coercion among parents' parenting attitude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self-esteem, self-efficacy, emotional regul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at-risk adolescents, and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and anxiety. Third, it was found that warmth among parents' parenting attitude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at-risk adolescents, and had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Coercion among parents' parenting attitudes was also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t-risk adolescents' self-esteem, and rejection among parents' parenting attitude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at-risk adolescents'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and had a static effect on anxiety.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parents' parenting attitud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emotional regulation of at-risk adolescents. Based on the main results, implications for parent education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동범,이현철,이원석. (2024).위기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심리상태 간의 관계: 부산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학부모연구, 11 (2), 61-78

MLA

주동범,이현철,이원석. "위기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심리상태 간의 관계: 부산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학부모연구, 11.2(2024): 6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