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동기 대인 간 외상경험이 성인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Effects of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 in Childhood on Post-traumatic Growth in Adul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윤판기(Pan-Ki Yoon) 황혜정(Hye-Jeong Hw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0호, 1043~106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아동기 대인 간 외상 경험이 성인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방법 20세 이상 59세 미만의 국내 성인남녀 266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지를 통해 조사 분석하였다연. 구 도구는 한국어판 아동기 외상 질문지(김은정, 김진숙, 2010)와 외상 후 성장 척도(김시형 등, 2020)였다자. 료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왜도와 첨도를 분석해 정규성 가정을 충족하는지를 확인하였고, 상관분석과 주요 변인 간 차이를 위한 t 검증, 일원분산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배경 변인에 따른 외상 후 성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라 외상 후 성장 전체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결 혼 여부에 따라서는 기혼이 미혼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나 이에 따라서는 50대가 40대, 30대, 20대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동기 대인 간 외상 경험의 유형에 따라 외상 후 성장 전체의 차이는 유의하였으며, 성적 학대, 신체적 학대, 방임, 중복 학대, 정서적 학대 순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외상을 경험한 시기, 양육자, 아동기 대인 간 외상가해자 요인들에 대해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둘 째 ,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아동기 외상 전체와 외상 후 성장 전체는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은 것로으 나타났다. 그러나 하위요인 중 정적서 방임과 외상 후장 은성 부적으로 상관이 있었고, 성적 학대와 신체적 학대는 외상 후 성장과는 정적으로 상관이 나타났다. 즉, 정서적 방임이 높을수록 외상 후 성장은 낮다는 것을 의미하고, 성적 학대와 신체적 학대가 높을수록 외상 후 성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아동기 대인 간 외상 경험은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아 동기 외상 중 정서적 학대는 정적으로, 정서적 방임은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즉 , 아동기 외상 경험 중 정서적 학대가 높을수록 외상 후 성장이 높아지고, 정서적 방임이 높을수록 외상 후 성장의 가능성이 낮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겠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외상 후 성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서적 방임을 낮추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in childhood on post-traumatic growth in adults. Methods 266 adult men and women aged 20 to 59 in Korea were surveyed and analyzed through an Internet questionnaire. The research tool was the Korean version of childhood trauma. It was a questionnaire (Eun-jung Kim, Jin-sook Kim, 2010) and a post-traumatic growth scale (Si-hyung Kim et al., 2020). For the data, skewness and kurtosi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o confirm whether the assumption of normality was satisfied,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for differences between major variable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post-traumatic growth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women in all post-traumatic growth according to gender. According to marital status, married peopl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unmarried. Depending on the age, those in their 50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ir 40s, 30s, and 20s.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overall post-traumatic growth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type of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in childhood, sexual abuse, physical abuse, neglect, double abuse, and emotional abuse appeared in order.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actors of trauma perpetrator between trauma period, caregiver, and childhood interpersonal relations. Second,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main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entire childhood trauma and the entire post-traumatic growth. However, among the sub-factors, emotional neglect and post-traumatic growth were negatively correlated, and sexual abuse and physical abus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emotional neglect, the lower the post-traumatic growth, and the higher the sexual and physical abuse, the higher the post-traumatic growth. Third, it was found that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in childhoo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Emotional abuse during childhood trauma was static and emotional neglect was negative. I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emotional abuse among childhood trauma experiences, the more post-traumatic growth.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higher the emotional neglect, the lower the likelihood of post-traumatic growth.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lowering emotional neglect is effective to increase post-traumatic growt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판기(Pan-Ki Yoon),황혜정(Hye-Jeong Hwang). (2024).아동기 대인 간 외상경험이 성인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0), 1043-1063

MLA

윤판기(Pan-Ki Yoon),황혜정(Hye-Jeong Hwang). "아동기 대인 간 외상경험이 성인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0(2024): 1043-10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