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무용창작 수업에서 대학생의 경험에 대한 개방성 창의적, 프로세스 참여 내재적 동기 및 창의적 수행 간의 관계
이용수 0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Openness to Experience, Engagement in the Creative Process,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e Performance in Dance Composition Class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대원(Dae won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0호, 257~28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 대학생을 위해 번안된 국문판 창의적 프로세스 참여 척도(Creative Process Engagement Scale; Zhang & Bartol, 2010a)와 창의적 수행 척도(Creative Performance Scale; Mutonyi, Slatten, & Lien, 2020)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탐색하고(연구 1), 무용전공 대학생의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창의적 수행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프로세스 참여와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두었다(연구 2).
방법 연구 1은 무용전공 대학생 127명(남학생17명, 여학생=110명)에게 실시되었다. 자료는 기술통계, 주성분 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2는 국문판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 그리고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창의적 수행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프로세스 참여와 내재적 동기의 다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무용전공 대학생 428명(남학생=54명, 여학생=374명, 평균 나이=20.08±1.62)에게 실시되었다. 자료는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및 PROCESS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 연구 1에서 창의적 프로세스 참여 척도와 창의적 수행 척도의 잠재적 요인구조는 2요인 구조가 적합하며, 각 누적 분산비는 64.99%와 66.63%로 나타났다. 전체 내적 일관성 계수(ɑ)는 창의적 프로세스 참여 척도가 .927이며, 창의적 수행 척도는 .838로 나타났다. McDonald’s 의 경우 창의적 프로세스 참여 척도는 .887이며, 창의적 수행 척도는 .903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창의적 프로세스 참여 척도는 3요인 구조(문제 파악, 정보검색, 아이디어 생성), 창의적 수행 척도는 단일요인(창의적 수행)과 2요인(개인 혁신행동, 개인 창의성) 구조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아이디어 생성과 내재적 동기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 창의적 수행에 간접 영향을 주며, 내재적 동기의 간접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결론 본 결과는 무용창작 수업에서 대학생의 창의적 프로세스 참여와 내재적 동기 및 창의적 수행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상상력, 심적 감수성, 내면의 감정에 대한 세심함, 다양성에 대한 선호, 지적 호기심 및 기존 스타일에 대한 과감한 도전 등 경험에 대한 개방적인 인지 스타일 증진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atent factor structure of the Creative Process Engagement Scale (Zhang & Bartol, 2010a) and the Creative Performance Scale (Mutonyi & Slatten, 2020) adapted for college dance students (Study 1),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openness to experience on college students' creative performance through creative process engagement and intrinsic motivation (Study 2).
Methods Study 1 was conducted on 127 undergraduate dance majors (17 males, 110 females)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wo scal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Study 2 was conducted on 428 dance majors (54 males, 374 females, mean age= 20.08±1.62)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reative process engagement and intrinsic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ness to experience and creative performanc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 Study 1, the latent factor structure of the Creative Process Engagement Scale and Creative Performance Scale fit a two-factor structure.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ɑ) was .927 for the creative process engage-ment scale and .838 for the creative performance scale. In Study 2,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a three-factor structure for the creative process engagement scale and a single-factor and two-factor structure for the creative performance sca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openness to experience has an indirect effect on creative performance through idea gener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Conclusions Findings suggest that fostering college students' engagement in the creative process,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e performance in dance composition classes requires the promotion of cognitive styles that are open to experi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1: 국문판 척도의 요인구조 탐색
Ⅲ. 연구 2: 타당도와 신뢰도, 매개효과 검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20호 목차
- 상태학업착수지연척도 개발 및 타당화
- 한국어 중급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대인적 기능의 실현 양상 분석
- 국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2002-2024) ‘고전 시가’ 영역의 분석 및 방향
- 아동기 대인 간 외상경험이 성인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 분야에서 살펴본 고교학점제: 질적 메타분석 연구
-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념적 접근에 관한 고찰: IB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유아교육 전공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 학습태도, 학업성취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플립드러닝을 적용한 교직수업을 중심으로
- 시나리오기반 시뮬레이션실습 교육의 효과와 경험에 대한 연구
- 보편적 학습설계와 증거기반교수를 적용한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곱셈·나눗셈 성취도와 수학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 무용창작 수업에서 대학생의 경험에 대한 개방성 창의적, 프로세스 참여 내재적 동기 및 창의적 수행 간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자기통제력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로버스카우트의 초·중등학교 연계 봉사활동 사례 연구: 로버스카우트 제도의 교육봉사활동으로서의 가능성 탐색
- 예비기술교사의 기술교과 교육과정 개념 형성과 변화: C대학 강좌를 중심으로
- 한국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 회복탄력성: 설명적 혼합연구법을 중심으로
- 미래 학교 교육과정 체제로서의 다중심성 교육과정 생성·공유 체제
- 텃밭활동이 만 4세 유아의 편식, 식습관,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의사소통적 발음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가 유아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중국인 학습자의 신문 기사 제목 이해 연구: 고급 학습자의 어휘력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가족 건강성과 학업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국내 시각예술계열 일반대와 전문대 교육과정의 정합성 연구
- 가치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행과 요구
- 국내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 연구동향 분석:학교급별 비교를 중심으로
- 일상 속 마이크로어그레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다문화가정 성인자녀를 중심으로
- Korea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English Idioms
- 성인학습자의 원격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독거 중년 미혼남성의 외로움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베이비부머의 사회적자본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평생학습참여도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양상 및 학생역량과의 관계 분석
- PBL 교육과정에서 학습자의 성취 수준에 따른 학습몰입 특성: 성찰일지의 코퍼스 기반 분석
- 국내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교육 중재의 효과: 체계적 고찰
- 초등학교 5학년 일반 학생과 발달성 난독 학생의 영어 수행력 프로파일링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국어교육 평가 연구의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음악치료 연구의 트렌드 분석: 키워드 의미 네트워크 접근
-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실습을 통한 변혁적 역량 탐구
-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실행연구 방법이 적용된 국내 영유아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신입생의 대학 적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프레임워크 개발: A 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 수학 학습 촉진을 위한 애니메이션 자료 제작 연구: 파이썬 라이브러리 Manim을 기반으로
- OJT 및 Off-JT가 일학습병행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기반한 호주 자국어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교육 내용 분석
- 성인의 비합리적 신념들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 사전 정보를 활용한 컴퓨터 적응 검사의 측정 정확성 및 효율성 향상 방안
- 어머니 일-가정 양립 갈등과 부부 갈등이 학령초기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원의 조절된 매개효과
- 상담자의 상담경력과 사례개념화 능력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 초등 예비교사의 도형과 측정 영역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 검사 도구 개발 및 분석 연구
- 성인학습자의 성장 마인드셋,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학습 성과 간의 관계
- 영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전문성 인식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자의 삶에 근거한 평화교육 모형개발
- 성인 ADHD 어머니의 자녀양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기본 수학> 교과서의 선분의 중점 지도에 관한 분석
- 지방 국립대 자율전공학부 신임교수의 대학혁신과정에서의 근무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성인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비대면 상담서비스 운영 변화와 과제: 국내 사이트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융합교육 실천 방법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생성형 AI 이용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2022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영역 명 ‘초월’ 삭제와 해당 ‘내용 요소’ 이동에 따라 고려되어야 할 배경 학문의 주요 개념에 대한 고찰
- 스포츠참여 동호인의 사회적지지와 문제해결능력 및 사회성의 관계
- 놀이기록 다시보기를 통한 유아교사의 유아놀이 변화 탐색
- 자연생태 기반 STEAM 교육에서 유아가 경험한 행복의 의미
- 대학생의 지각된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아토피 피부염 유아에 대한 인식과 지식 및 관리수준
- 미술치료 전공 학부생의 임상실습, 수퍼비전, 학부과정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사교육비 불평등도에 대한 연구: 사교육비 지니 계수, 후버 지수, 팔마 비율을 중심으로
- 대학 집단상담 분야의 연구 동향 분석
-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 유능성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 중학교 1학년 대상으로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온라인(on-line) 양육참여 경험의 의미와 개선요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집단 잠재계층분석을 적용한 측정동일성 검증: ICT 자기효능감의 국가 비교를 중심으로
- 중학생의 창의적 성향 잠재집단 전이와 학생과 가정 관련 영향요인
- 국내 4년제 대학 여성 교원의 가면증후군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