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양상 및 학생역량과의 관계 분석

이용수 3

영문명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Digital Literacy Attitude Patterns and Relationship with Student Capabiliti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경숙(Gyeongsuk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0호, 453~46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경기도 고등학생들의 다양한 학생 변인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의 양상을 확인하고,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요인과 학생역량과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2022년에 경기학교교육실태조사에 참여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4,981명의 성별, 독서량, 학업 성적, 공부 시간, 전자기기 사용시간(학업 및 진로계발, 여가 및 친목활동)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의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평균 차이 검증(t검증, F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의 하위요인과 인지적 역량, 사회적 역량, 자율적 역량, 핵심역량 간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평균 분석 결과,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긍정적이었으며, 학업 성적이 높을수록, 공부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자기기는 학업 및 진로계발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시간이 증가할수록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가 긍정적이었지만, 여가 및 친목활동을 위해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자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집단보다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집단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가 더 긍정적이었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인지적 역량과 자율적 역량은 ‘자기효능감>자기조절>윤리’ 순으로, 사회적 역량과 핵심역량은 ‘자기효능감>윤리>자기조절’ 순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긍정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형성을 위한 교육 방안을 도출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실증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위해서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attitudes according to various student variabl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ttitude factors and student competency. Methods A t-test and F-t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digital literacy attitudes according to gender, reading amount, academic performance, study time, and electronic device usage time (for academic and career development, leisure, and social activities) among 4,981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yeonggi Province School Education Survey in 2022. In addition,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between the sub-factors of digital literacy attitude and cognitive, social, autonomous, and core competencies. Results The results of the mean analysis showed that female students had more positive digital literacy attitudes than male students, and the higher their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more time they spent studying, the more positive they were. In addition, when electronic devices were used for academic and career development, the more positive the digital literacy attitudes were as the usage time increased, but when they were used for leisure and social activities, the digital literacy attitudes of the group that used electronic devices were more positive than those of the group that did not use electronic devices. The results of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ognitive and autonomous competencies had a positive effect on digital literacy attitudes in the order of ‘self-effi-cacy > self-regulation > ethics’, while social competencies and core competencies had a positive effect on digital literacy attitudes in the order of ‘self-efficacy > ethics > self-regulation’.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n empirical study that can contribute to deriving educational plans for forming positive digital literacy attitudes in high school students, but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generalize the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경숙(Gyeongsuk Lee). (2024).고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양상 및 학생역량과의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0), 453-469

MLA

이경숙(Gyeongsuk Lee). "고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양상 및 학생역량과의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0(2024): 453-4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